서울'버스 우선통행제'추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0면

서울시가 시내 교통시스템을 대중교통 위주로 개편키로 한 가운데 버스운행 속도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대책을 검토하고 있다. 교차로에서 바깥 차선에 있는 버스가 먼저 좌회전한 뒤 일반차량이 뒤따라 통과하는 방안을 도입하고 버스전용차로에 다른 차량이 진입하지 못하도록 일반차량과 반대방향으로 운행하는 역류차로제도도 구상 중이다.

서울시는 시정개발연구원 등에서 연구하고 있는 버스소통 우선대책이 시행되면 현재 시속 21.7㎞인 버스의 평균속도가 35∼40㎞로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버스우선신호제=이 제도가 실시되면 교차로의 좌회전·직진 신호가 버스와 나머지 차량용으로 이원화된다. 첫 신호가 켜지면 전용차로에 대기하고 있던 버스가 먼저 진행하고 이어 두번째 신호에 따라 일반차량이 운행한다. 버스의 신호대기시간이 최소화되는 셈이다.

이와 함께 서울시는 종각 앞 교차로처럼 버스만 좌회전 할 수 있도록 하는 신호체계를 동북부의 대표적 정체지역인 도봉·미아로 일대에 확대할 방침이다. 또 각 교차로의 신호등마다 버스의 흐름을 감지할 수 있는 장비를 설치해 버스의 운행에 맞춰 신호를 조절하는 '버스감응시스템'도 연구하고 있다.

현재 브라질 쿠리치바와 미국의 시카고, 유럽 일부 소도시는 이런 시스템을 부분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복잡한 서울의 도로에는 적절치 않다는 지적도 있다. 시 교통관리실 음성직(陰盛稷)실장은 "용역 결과가 나온 후에도 구체적인 시행 방법 등은 경찰과 협의해 결정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중앙전용차로 확대와 역류차로제=도로 중앙에 버스전용차로를 설치할 경우 기존 가로변에 전용차로가 있을 때보다 시속 12㎞까지 속도를 높일 수 있다는 게 시의 설명이다. 좌회전 등을 위한 차선 변경이 용이하고 가로변과 달리 불법 주·정차 차량 등으로 통행에 방해받지 않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중앙전용차로제를 더욱 확대할 방침이다.

서울시는 이밖에 버스정류장 부근 등 일부 구간에서는 2개 차로를 버스전용차로로 할애하거나 1개 차로는 버스 추월로로 이용하는 방안과 함께 버스전용차로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역류차로제'의 도입도 검토 중이다.

김필규 기자

phil9@joongang. co. 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