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당·황순원 문학상 시상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1면

제2회 미당문학상과 황순원문학상(공동 주최 문예중앙), 제3회 중앙신인문학상 시상식이 4일 오후 4시 중앙일보 로비 1층 호암아트홀에서 열렸다.

시인 황동규씨가 미당문학상을, 소설가 김원일씨가 황순원문학상을 받았다. 두 수상자에게는 부상으로 각각 상금 3천만원과 5천만원이 수여됐다.

중앙신인문학상은 시 부문 장승리씨, 소설 부문 한순영씨, 문학평론 부문은 이성천씨가 수상했다. 상금은 시 부문 5백만원, 소설 부문 1천만원, 문학평론 부문 5백만원이다.

미당문학상 수상자 황동규씨는 인사말을 통해 "'삶이냐 시냐'라는 미당에 대한 이분법을 지양하고 미당 시가 주는 감동에 실존적인 접근을 해야 한다"며 "시는 고통 속에서 피어나는 감동과 황홀을 옹호해야 할 운명을 지니고 있다"고 말했다.

황순원문학상 수상자 김원일씨는 "분단에서 비롯된 굶주림과 결손 가정의 현실이 내 문학의 토양이 됐다"며 "지구 곳곳에서 전쟁이 일어나고 이 곳은 아파트값이 폭등하고 있다. 이렇게 세상이 험난해지고 사람들 삶이 힘들어질수록 문학이 지키고 해야할 일은 더더욱 많아진다"고 말했다.

신인문학상 시 부문 수상자 장승리씨는 수상 소감에서 "시가 멀리 있는 줄 알았는데 내 곁에 있었다"며 "온 몸으로 시를 쓰겠다"고 다짐했다.

소설 부문 수상자 한순영씨는 "감사할 사람이 너무 많은데 좋은 글로 보답하겠다"고 약속했다.

마지막으로 문학평론 부문 수상자 이성천씨는 "자신에게 무한히 너그러운 부모님께 감사드린다"고 말하던 중 잠시 말문이 막힌 듯 쉬었다가 "가족과 중앙일보에 감사드린다"고 인사했다.

마지막으로 중앙일보 이제훈 사장은 치사를 통해 "문화와 예술이 있기에 우리는 야만에서 벗어나 그야말로 인간답게 살 수 있고, 또 현실이 우리를 아무리 구속하고 아프게 해도 좀더 자유롭고 나은 삶을 향한 꿈을 꿀 수 있다. 그런 문화예술의 중심에 바로 문학이 자리잡고 있다"며 "중앙일보는 오늘의 수상자들은 물론 모든 문인들의 문필활동을 지켜보며 격려를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이날 시상식에는 수상자의 가족과 친지 및 문학계 인사 등 모두 3백여명이 참석해 수상자들을 축하했다.

우상균 기자

hothead@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