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평가원장 표적수사 의혹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9면

한국근현대사 검정교과서의 전·현 정부에 대한 편향적 기술 논란과 관련, 당시 교육부가 내부적으로 만든 대책문건을 야당에 제공한 것으로 드러난 김성동(金成東)한국교육평가원장에 대해 경찰이 집중 조사에 들어간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이번 조사는 청와대 하명(下命)수사를 주로 맡고 있는 경찰청 특수수사과에 의해 진행되고 있어 경찰이 특정 공직자의 정치성향을 문제삼아 표적수사하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25일 평가원 관계자들에 따르면 지난 20일부터 평가원 사무국장과 총무부장 및 일부 연구원이 특수수사과에 불려가 조사를 받았다. 22일에는 수사관들이 평가원에 직접 나와 경리부장 등을 조사한 것으로 확인됐다.

평가원의 한 간부는 "경찰이 경리부장을 통해 金원장의 판공비를 조사하고, 운전기사에게 원장의 일정까지 확인하는 등 金원장 개인에 대해 집중 조사했다"며 "직원들 사이에서는 야당과 접촉한 평가원장의 사표를 종용하기 위한 기획된 압박수사라는 말이 돌고 있다"고 말했다.

교육부의 대책문건이란 논란을 빚은 교과서 내용에 대한 검토와 향후 조치(필요할 경우 수정·보완) 등을 지난달 29일 밤 교육부 실무자가 작성해 이상주(李相周)부총리 겸 장관에게 보고한 것이다.

이에 대해 경찰청 관계자는 "얼마 전 평가원의 연구원 채용 과정에 문제가 있다는 첩보가 입수돼 비리 개입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관련자 조사에 착수한 것일 뿐"이라고 말했다.

이에 앞서 金원장은 당시 보고서 작성에 참여한 평가원 직원을 통해 별도로 보고서를 입수, 한나라당 교육수석전문위원에게 팩스로 보낸 사실이 알려지면서 총리실로부터 문서유출 경위와 정치적 중립 위배에 대한 조사를 받았었다.

김남중·강주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