② 이왈종 '독도 진경' : 텅빈 먼 바다 홀로 선 의연함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41면

"나는 절멸(絶滅)이라는 말을 좋아하는 편이다. 그리고 나는 모든 인류가 절멸한 뒤의 지구가 무인(無人)의 산맥과 무인의 바닷가를 거느리고 광막한 우주 공간을 무서운 속도로 돌고 있는 이미지를 좋아한다."

허만하 시인이 쓴 '사람이 사라져버린 산맥과 바닷가'의 풍경을 이 휴가철에 찾기는 어렵다.

대부분의 산과 바다는 도시에서 허겁지겁 바캉스를 보내기 위해 달려온 사람들로 붐빈다. 그 붐빔은 몸살이나 열병처럼 이 산하를 휩쓸어 버린다. '바캉스'라는 프랑스 말의 본뜻이 '텅 빔'이라는 걸 생각해보면 한국인들의 여름 휴가는 거꾸로 일상에서 박탈당하고 살았던 걸 한순간에 꾸역꾸역 채우려는 몸부림처럼 비친다.

하지만 이 여름에도 '절멸'에 가까운 모습으로 의연한 땅이 있다. 독도다. 울릉도에서 다시 동남쪽으로 92㎞를 가야 나타나는 독도는 이미 그 이름에서 고고함을 풍긴다. 외로운 섬, 고독한 섬 독도의 쓸쓸함은 슬픔으로 번져간다. 세상 끄트머리로 뻗치거나 오지로 숨어든 것들은 슬프다.

이왈종씨가 수묵담채로 그린 '독도 진경'은 한여름에도 혼자서 놀고 있는 독도의 그 호젓함을 진진하게 담았다. 어렵게 독도에 가닿은 화가는 "첫 눈에 이 섬에 반해버렸다"고 했다. "참 잘났다"는 감탄사가 절로 터져나오더라는 말 끝에 화가는 "독도의 풍경이 내 속으로 스며들어 손에 든 붓을 꿈틀거리게 하더라"고 털어놓았다. 단숨에 가슴을 치고 들어온 독도와의 대면에서 화가는 온 몸이 텅 비어버리는 걸 느꼈고, 그 에너지로 '독도 진경'을 시원스레 쑥 토해냈다.

탕건봉과 삼형제굴·촛대바위를 거느린 서도의 우람함을 단순한 선 몇 개로 잡아낸 화가는 그림 안보다 밖에 더 큼직한 여백을 풀어놓았다. 그 여백은 '독도 진경'을 만나는 사람의 풍경이다. 보는 이가 이 그림 한 장으로 번잡하고 뜨거운 여름을 가뿐하게 이겨내길 바라는 화가의 마음이 이성복 시인의 '바다'를 소리없이 읊었다.

"서러움이 내게 말 걸었지요/나는 아무 대답도 안 했어요//서러움이 날 따라왔어요/나는 달아나지 않고/그렇게 우리는 먼 길을 갔어요//눈앞을 가린 소나무 숲가에서/서러움이 숨고/한 순간 더 참고 나아가다/불현듯 나는 보았습니다//짙푸른 물굽이를 등지고/흰 물거품 입에 물고/서러움이, 서러움이 달려오고 있었습니다/엎어지고 무너지면서도 내게 손 흔들었습니다."

정재숙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