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mily] 물어보세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0면

Q. 아이의 용돈장부 사용은 어떻게 지도해야 하나요?

A. 대부분의 초등학교에서는 5학년을 전후해 수행학습의 일환으로 용돈기록을 권장하고 있어요. 만일 자녀의 용돈에 관해 부모의 의견과 학교의 지침이 다르다면 가능한 한 학교의 지침을 따르는 게 바람직하다고 합니다.

그런데 아이들은 원래 기록하기를 싫어합니다. 천천히 습관을 들이되 매일 잊지 않고 쓰도록 유도하는 게 중요합니다.

또 용돈 사용 내역에 대해 함께 논의하는 것은 좋지만 지나친 간섭은 자율성 함양에도 좋지 않습니다.

그리고 작은 물건을 사도 영수증을 받아 붙여놓도록 지도해 주세요. 올바른 소비습관은 물론 투명한 상거래 의식을 키워줄 수 있습니다.

Q. 아이들도 가정 경제의 구성원임을 알게 해주는 방법이 있나요?

A. '가계부의 달인'인 주부 곽희수씨는 아이에게 매달 아빠의 월급 명세서를 보여준다고 해요. 그리고 한 장의 종이에 아이에게 들어가는 각종 경비를 표로 만들어 적고 벽에 붙여놓는다고 합니다.

아이에게 돈을 줄 때마다 스스로 그 표에 날짜와 금액, 구체적인 내역, 그리고 누계를 적게 한대요.

이를테면 휴대전화 요금은 미리 일정 한도액을 정해 현금으로 주고 표에 적게 한 뒤, 아이 스스로 저금한 통장에서 자동이체 등이 이뤄지도록 하는 것이죠.

그렇게 하면 아이가 자신에게 드는 돈이 가계 전체에서 얼마나 되는지 실감할 수 있다는 거예요. 중학생 이상의 자녀에겐 효과있는 방법이죠.

또 옆의 기사에 나오는 이창우.위정숙씨 가정의 휴가비 마련법도 기발하더군요. 각자 커다란 저금통에 1년 동안 동전을 모은대요. 여름휴가를 앞두고 온 가족이 저금통 뜯는 행사를 하는데, 당일엔 아침부터 모두들 가슴이 떨릴 정도라고 합니다. 휴가를 얼마나 신나게 즐길 수 있는지 결정되기 때문이죠.

아빠가 모은 돈은 숙박비, 엄마는 놀이시설 이용료 등 여행지에서의 기타 경비, 큰 딸은 식대, 작은 딸은 음료수를 포함한 군것질 비용을 책임지기로 돼 있거든요. 일정은 그 돈의 형편에 거의 맞춰서 조절하고요.

아빠가 모은 500원짜리는 약 15만원, 초등학생인 둘째딸의 돈은 3만원쯤 되는데, 그 정도면 강원도 속초의 원룸형 민박집에서 2박3일간 수영장 나들이와 오징어회 등을 즐기고 올 수 있다고 하네요.

김정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