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사람들 게이트 단골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검찰이 수사 중인 각종 의혹사건마다 청와대 전·현직 직원들이 단골처럼 등장하고 있다.

비리사건에 연루된 의혹을 받고 있는 인사들은 대부분 특정지역 출신이거나 정치권 실세들의 지원을 받고 청와대에 입성한 것으로 드러나 현 정부 인사정책의 문제점을 다시한번 보여주고 있다.

건설업자에게서 1억5천만원을 받은 혐의로 검찰에 의해 구속영장이 청구된 임정엽 전 정무비서실 행정관은 현 정부 출범 초기 대통령 경제특보로 있던 유종근 전북지사의 비서 출신으로, 아태재단 기획실장 시절 건설업자의 청탁과 함께 돈을 받았다.

씨는 특히 아태재단 부이사장인 김홍업씨는 물론 金씨의 자금을 관리해온 것으로 드러난 김성환 전 서울음악방송 회장과도 친분이 두터운 것으로 알려져 두 사람 사이에서 모종의 역할을 했을 가능성도 있다. 그의 단독 비리가 아니라 김성환씨 등과의 관련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다.

또 김대중 대통령 수행비서인 이재만 전 청와대 제1부속실 행정관(3급)은 최규선 미래도시환경 대표에게서 금품을 받고 대통령의 일정을 제공한 의혹을 받고 있어 검찰 조사가 불가피해졌다.

특히 씨가 2급비밀로 분류되는 대통령 일정을 崔씨에게 유출한 것은 국가기강 확립 차원에서도 중대한 범죄행위로 지적받고 있다.

이와 함께 이만영 청와대 정무비서관은 최성규 전 경찰청 특수수사과장의 도피권유에 연루된 의혹으로 검찰의 조사를 받았다.

이에 앞서 한국디지탈라인 대표 정현준씨에게서 4억원을 받은 혐의로 기소됐던 청와대 청소담당 이윤규씨와, 박준영 전 청와대 공보수석을 윤태식씨에게 소개해주고 패스21 주식을 샀던 청와대 사진사 金모씨 사건은 '호가호위(狐假虎威)'의 전형으로 국민의 실소를 자아내기도 했다.

검찰 관계자는 "청와대 비서들과 관련된 비리 제보가 적지 않다"며 "그들의 비리 불감증과 도덕적 해이 문제가 정권 말기를 맞아 터져나오는 것 같다"고 말했다.

박재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