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일기] 최고의 안전, 업계 불편 최소화 … G20 준비 솔로몬의 지혜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2면

“정상회의 기간 동안 철통 경계하면 문 열어도 손님이 없을 테니…. 하지만 일주일 넘게 장사에 지장을 받으면 곤란하다.”

11월 11~12일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가 개최되는 서울 삼성동 코엑스 컨벤션센터 인근 상인들은 불안한 기색이 역력했다. G20이 개최된다고 해서 특수를 기대했는데, 특수는커녕 생업에 지장을 받게 됐으니 걱정이 태산이다.

본지가 14일 G20 정상회의 기간 중 코엑스몰 주변을 전면 통제하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다고 보도하자 코엑스몰과 정부 측은 일단 “강제 휴무 계획은 없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그러나 시민과 상인의 반발을 우려해 통제 계획을 무조건 부인하는 것만이 능사가 아니다.

사실 상인들과 시민들의 불편은 서울 삼성동 코엑스가 G20 정상회의 장소로 결정됐을 때부터 어느 정도 예견돼 왔다. G20준비위원회 측은 이 지역 유동 인구가 하루 10만 명이 넘고, 점포와 업무시설이 밀집돼 있다는 점 때문에 제주도와 한강 내 인공섬(플로팅 아일랜드) 등을 검토하기도 했었다. 그러나 시설이나 여러 가지 조건을 고려했을 때 코엑스 외엔 현실적인 대안이 없는 상황이었다.

G20 정상회의는 이제 5개월도 채 남지 않았다. 성공적인 행사를 치르기 위해서는 이제 본격적인 준비가 시작돼야 한다. 특히 보안은 심각한 문제다. 테러와 반세계화 시위대뿐만 아니라 ‘북한 문제’라는 컨트리 리스크도 고려해야 한다. ‘천안함 사태’와 관련된 불상사가 걱정되는 것이 현실이기 때문이다.

지난해 9월 G20을 치른 미국 피츠버그시의 경우 통제구역 안 대부분의 관공서·은행과 상점들이 문을 닫았다. 상당수 기업들도 휴무했다. 하지만 상인과 시민들의 불안을 달래주기 위한 조치들도 있었다. 피츠버그 상인연합회 등이 중심이 돼 상점 직원들의 출퇴근 관리와 손님 관리에 대한 매뉴얼을 만들어 상인들에게 배포하기도 했다. 시장이 나서 “불편이 적지 않겠지만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 협조해 달라”고 설득 작업도 폈다.

정상들의 안전에 관해 추호의 문제도 없게 정부는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상인과 시민들의 불편은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

정부는 지금부터라도 ‘소통의 자세’로 상인과 시민들의 협조를 구해야 한다. 보상과 통제 등의 절차가 투명하게 진행돼야 함은 물론이다. 철저한 안전과 시민 불편의 최소화, 두 마리 토끼를 잡는 솔로몬의 지혜를 정부에 기대해 본다.

최지영 경제부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