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 합조단 유엔 브리핑 중국 등 15개국 모두 참석”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6면

한국의 천안함 민·군 합동조사단이 14일(현지시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실시할 천안함 사건 조사 브리핑에 중국 등 15개 안보리 이사국이 모두 참석할 것으로 보인다고 외교 소식통이 13일 밝혔다. 또 이를 계기로 이번 주 중 안보리에서 천안함 대응조치에 대한 비공식 협의가 개시될 것이라고 이 소식통은 전했다.

소식통은 “안보리 의장국인 멕시코의 클라우드 헬러 의장이 우리 정부에 중국을 포함해 15개 이사국 전부가 브리핑에 참석할 것이라고 전해왔다”고 말했다. 이어 “브리핑 참석 여부가 불투명했던 중국이 막판에 들어오기로 결정한 것은 러시아를 포함, 다른 이사국 전부가 참석하는 상황에서 브리핑을 거부할 경우 겪게 될 부담을 의식해서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부는 이번 브리핑이 안보리의 천안함 처리 기조를 결정할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고 모든 이사국이 납득할 수 있는 내용을 내놓는 데 총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14일 오후 3시(현지시간) 뉴욕 유엔본부 회의장에서 열릴 브리핑에는 윤덕용 합조단장과 미국·영국·호주·스웨덴 등 합조단에 참가한 4개국 대표들이 모두 참석할 예정이며 박인국 주유엔 대사도 참석할 계획이다.

정부 당국자는 “이날 브리핑을 계기로 유엔 안보리에서 천안함 사건에 대한 대응조치의 내용과 형식을 논의하는 비공식 협의가 사실상 개시된다”고 전했다.

정부는 주요 이사국들과의 물밑 협상에서 의장 성명이나 결의 같은 대응조치의 ‘형식’보다는 어떤 대북 규탄 메시지가 담길 것인지의 ‘내용’에 중점을 두고 있다고 당국자가 전했다. 특히 북한의 소행임을 명시하고 시인과 사과, 재발 방지를 요구하는 메시지가 도출되도록 힘을 기울일 방침이다. 정부는 다음 주 안보리 이사국 대표들이 아프가니스탄으로 장기 출장을 가도록 돼 있어 6월 중 천안함 문제가 논의될 기회는 이번 주가 유일할 것으로 보고 있다.

외교 소식통은 “중국이 이번 브리핑을 듣고 나서도 천안함 문제에 대해 기존 입장을 바꾸지 않을 가능성이 높고 러시아도 다음 달에야 천안함 조사 결과에 대한 자체 판단을 내리겠다고 밝힌 바 있어 천안함 처리는 다음 달로 넘어갈 가능성을 배제하기 힘들다”고 전했다. 한편 안보리 의장은 지난 4일 우리 정부가 제출한 천안함 사건 관련 서한을 전체 이사국들에 회람시켰다.

강찬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