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시 安全 3차원 경호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19일 방한하는 조지 W 부시 미 대통령에 대한 경호는 한·미 공조 체제를 바탕으로 입체적으로 이뤄진다. 지상·공중은 물론 전자 공간의 각종 정보와 첩보를 취합해 철저한 경호가 이뤄질 것으로 알려졌다. 한·미 양국은 우선 미 백악관과 청와대 경호실의 주도로 합동 경호팀을 가동한다. 주한미군과 국군 기무사령부가 지원할 합동 경호팀은 인원을 대폭 보강했다고 한다. 지난해 미국 뉴욕의 9·11 테러 참사 이후 부시 대통령에 대한 테러 가능성이 항상 잠재해 있기 때문이다.

한반도 상공에 떠 있는 정찰위성은 부시 대통령의 방한 며칠 전부터 북한 지역의 스커드 미사일 기지와 공군 기지, 전방 장거리포 등 위협적인 무기의 움직임을 면밀히 관찰하고 있다.

경호는 부시 대통령이 경의선 도라산역과 남북한 간 냉전의 상징인 비무장지대(DMZ)를 방문하는 20일 최고조에 달한다. 부시 대통령이 북한과 가장 근접한 거리에 가기 때문이다.

대통령 전용기인 에어포스원과 특수 전용차의 상공에는 공중조기경보기(AWACS)와 미 공군 전투기가 항상 떠 있을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군의 지상 병력 움직임을 감시하는 무인 정찰기도 떠 있게 된다.

공중이나 지상에서 문제가 발생할 경우 즉각 대응하거나 하늘의 지휘소인 AWACS를 통해 상황을 통제하기 위해서다. AWACS는 지상의 지휘소 역할은 물론 통신위성을 통해 미 본토에서 정보를 수집해 상황을 판단하고 공군 전투기에 작전을 지시한다. 부시 대통령이 도라산역과 미군 부대를 방문할 때는 경호원들의 특수 무전기를 제외한 반경 수㎞ 이내의 모든 무전기와 통신은 일시적으로 마비된다. 백악관 경호팀이 우발적 상황을 예방하기 위해 전파를 교란하는 것이다.

김민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