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J·JP 단독회동… DJ '정치 불개입 선언' 뒤집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29일로 예정된 김대중(金大中.얼굴(左))대통령과 자민련 김종필(金鍾泌.JP)총재의 단독 회동에 정치권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지난해 9월 'DJP 공조'가 붕괴된 이후의 첫 만남인데다 두 사람의 교감(交感) 여부에 따라 향후 정국 지형이 크게 변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청와대측은 회동 성격을 '일상적인 것'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28일 이상주(李相周)비서실장을 신당동 金총재 자택으로 보내 회동을 제의한 것은 그동안 각계 지도층과 만나왔던 연장선상일 뿐이라는 것이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28일 "정치로부터 손을 뗀다는 金대통령의 의지는 확고하다"면서 "일부에서 거론되는 합당 등 정치문제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을 것"이라고 잘라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金대통령은 임기 말 원활한 국정운영을 위해 초당적으로 협조해 달라는 부탁을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하지만 자민련의 입장은 다르다. 金총재는 28일 "金대통령과 정국 현안에 대해 허심탄회하게 논의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정진석(鄭鎭碩)대변인은 "金총재는 국정 난맥상의 제1의 해법은 과감한 정치개혁이며 이를 위해서는 권력구조를 개편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할 것"이라고 전했다. 논의의 핵심이 결국 권력구조가 될 것이라는 의미다.

金총재의 한 측근은 "JP는 내각제나 이원집정부제를 받아들이면 어떤 정당과도 연대할 수 있다는 입장"이라면서 "그런 JP가 金대통령과의 단독 회동을 그냥 흘려버리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金총재는 또 민주당 일각에서 내각제를 고리로 자민련과의 합당을 추진하는 흐름이 과연 '김심(金心.金대통령의 의중)'을 반영한 것인지를 확인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한나라당은 28일 "DJP회동은 내각제를 고리로 정계개편 가능성을 타진해 보려는 것"이라며 "또다시 야합을 시도할 경우 국민의 심판을 피할 수 없다"며 강력히 비난했다. 이런 야당의 반발과 여론의 동향 등을 고려해 DJP의 회동 내용은 쉽사리 드러나지는 않을 것 같다.

민주당 관계자는 "회동 이후의 자민련 金총재의 행보와 민주당 내 합당파들의 움직임을 통해 DJP 회동 내용이 구체화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김종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