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마지막 '공양왕릉 도굴' 소동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1면

경기도 고양시에 있는 고려 마지막 공양왕릉에 대해 도굴 논란이 일고 있다.

9일 고양시는 지난 10월 24일 공양왕릉 위탁관리인 전모(67)씨로부터 덕양구 원당동 산65 공양왕릉의 두개 봉분 중 왼쪽 봉분(높이 2.5m.직경 5.5m) 뒷면에 가로 1m.세로 1m 크기로 잔디가 훼손됐다는 신고를 받고 고양경찰서에 수사를 의뢰했다.

경찰조사 결과 이 봉분 아래쪽에 가로.세로 30~40㎝ 가량의 잔디 여섯조각이 아래쪽으로 약간 주저앉아 있었다. 그러나 경찰은 잔디 아래쪽 흙을 파낸 흔적이 없는 점으로 미뤄 지난해 봄 봉분에 씌운 잔디가 집중호우 등으로 흘러내렸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도굴에 앞서 탐침봉으로 봉분 여러곳을 찔러보며 부장품을 확인한 흔적도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고양시도 관리인 전씨가 '올 8월 잔디 사이에 틈이 생겨난 뒤 10월말 잔디 일부가 주저앉았다'고 신고한 점을 중시, 도굴시도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결론지었다.

이에 반해 고양향토문화보존회 이은만(李殷滿)회장은 현장을 둘러본 뒤 "잔디가 인위적으로 떼어진 것 같다"며 도굴시도 가능성을 제기했다.

1970년 국가 사적으로 지정된 공양왕릉은 99년 대대적으로 정비 복원됐다.

고양=전익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