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을 위한 행진곡’ 때문에 … 둘로 갈린 5·18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제30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이 ‘임을 위한 행진곡’을 둘러싼 논란 끝에 두 곳으로 나뉘어 진행됐다. 국가보훈처 주관으로 18일 광주광역시 운정동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열린 기념식에 참석한 정운찬 국무총리가 분향하고 있다. [오종택 기자]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을 둘러싼 논란 끝에 5·18 민주화 운동 기념식이 두 개로 갈렸다. 5·18 민주화운동 30주년 기념식이 국가보훈처 주관으로 18일 오전 10시 광주광역시 운정동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정운찬 국무총리, 한나라당 정몽준 대표, 민주당 정세균 대표, 박광태 광주시장, 유족, 관련 단체 회원, 시민 등 15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정부가 2004년 기념식을 주관한 이후 5월 단체는 처음으로 불참했다.

기념식은 정 총리의 헌화와 분향, 기념사에 이어 부산·광주 시립합창단, 인천 오페라합창단, 광주시립국극단의 공연 등으로 진행됐다. 이명박 대통령은 정 총리가 대독한 기념사에서 “한국 민주주의의 싹은 5·18 민주화 운동의 정신을 밑거름 삼아 거목으로 자라났다”며 “5·18 정신은 우리에게 ‘화해와 관용’에 기초한 성숙한 민주주의 실현을 요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 총리가 헌화·분향에 이어 기념사를 대독할 즈음, 유족 등 50여 명이 경찰의 제지를 뿌리치고 행사장으로 몰려들었다.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이 식순에서 빠진 데 대해 항의하기 위해서였다.

같은 시각 300여m 떨어진 5·18 구 묘역에서 5·18 행사위원회가 주최한 기념식 참가자들이 묵념을 하고 있다. [프리랜서 오종찬]

같은 시각 300여m 떨어진 5·18 구 묘역에서는 5·18 행사위원회 주최로 또 하나의 기념식이 열렸다. 이 행사에는 강기갑 민주노동당 대표와 민주당의 강운태 광주시장 후보, 박주선 최고위원, 김동철 광주시당위원장, 김효석 전남도당위원장, 김재균·유선호·조영택·강기정·김영진 국회의원, 국민참여당 정찬용 광주시장 후보 등 300여 명이 참석했다.

두 개의 기념식이 열린 것은 국가보훈처가 기념식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외한 것이 발단이었다. 보훈처는 ‘국가 기념일에 맞는 새로운 노래를 부르는 게 맞다’며 지난해 기념식부터 이 노래를 뺐다. 반면 5·18 관련 단체는 5월 항쟁의 역사와 투쟁 과정이 이 노래에 녹아 있다며 반드시 불러야 한다는 입장이다. 한나라당 김무성 원내대표는 이날 광주시당에서 열린 선대위 회의에서 "이 노래가 왜 안 되는지 안타깝게 생각한다”며 “ 노래 한 곡 부르느냐, 안 부르느냐 문제를 갖고 분위기를 망친 그 미숙한 조정 능력을 개탄하지 않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광주=유지호 기자
사진=오종택 기자, 프리랜서 오종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