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청대장 공개 거부 국감 중단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21일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의 감청대장 열람 논란은 국감 중단 사태로 이어졌다.

양승택(梁承澤)정보통신부 장관이 지난 11일 과기정위에서 의결한 '통신 제한조치 허가대장(일명 감청대장)' 열람 결정에 따를 수 없다고 버텼기 때문이다.

梁장관은 "감청대장 열람은 통신비밀보호법(통비법)상 사생활 보호를 위해 허용할 수 없다" 며 위원회 결정을 정면으로 거부했다.

梁장관은 20일 공문을 통해 한국통신.SK텔레콤에도 사실상 열람 거부 지시를 한 것으로 드러났다. 한나라당 의원들은 "국감을 방해한 범법행위" 라고 격렬히 반발했다.

▶박원홍(朴源弘)의원〓1998년 배순훈(裵洵勳)당시 정통부 장관은 상임위가 의결하면 감청대장을 제출하겠다고 했다. 조폐공사 파업유도 사건 때도 제출했고 지난해에도 봤다. 국회가 바지저고리냐.

▶최병렬(崔秉烈)의원〓지난해 감사원의 특감 때엔 정통부가 감청대장을 다 보여줘 놓고 국회엔 못 보여준다는 게 말이 되느냐.

▶강재섭(姜在涉)의원〓도.감청이 안된다고 목청을 높이던 김대중 정권이 들어선 뒤에도 도.감청은 계속된다. 감청대장을 보는 게 사생활 침해라면 마구 도.감청하는 게 더 큰 사생활 침해다.

그러나 梁장관은 "통비법은 특별법적 지위여서 국회 증언감정법보다 우위" 라며 입장을 굽히지 않았다.

민주당 김효석(金孝錫).이종걸(李鍾杰)의원은 "법적으로 논란의 소지가 있다. 장관이야 통비법을 따를 수밖에 없는 것 아니냐" 고 두둔했다.

결국 김형오(金炯旿)위원장은 "국회법 절차를 거쳤음에도 장관이 문서 검증을 거부한 것은 유감" 이라며 "고발 등을 논의하겠다" 며 국감 중지를 선언했다.

한나라당 이재오(李在五)총무는 梁장관에게 "장관이 정면으로 국감법을 위반해도 괜찮으냐" 고 경고했다.

고정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