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 신도시 매매 · 전세값 오름세 주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9면

서울.신도시 아파트값 오름세가 한풀 꺾이는 모습이다. 매매.전셋값이 너무 올랐다는 심리와 거시경제 불안감이 겹쳐 수요자들이 매입을 주저하기 때문이다. 중앙일보 조인스랜드와 부동산114 조사에 따르면 지난 주 아파트매매값은 그 전주(8월 26일~9월 1일)에 비해 서울 0.28%, 신도시 0.37%, 수도권(서울.신도시 제외)은 0.58% 올랐다. (http://www.joinsland.com) 참조

이는 2주 전(서울 0.43%.신도시 0.57%.수도권 0.41%)에 비해 서울과 신도시 오름폭은 꺾인 반면 수도권은 커졌다. 분당 정자공인중개사무소 김의선 사장은 "그간 값이 많이 올랐는데도 호가가 내리지 않고 있어 거래가 잘 안 된다" 고 말했다.

서울 강남의 경우 재건축 대상 아파트의 약세가 이어지면서 0.03%로 보합세였고 특히 재건축 대상 중 상당수를 차지하는 20평형대 이하는 0.47% 내려 눈길을 끌었다. 송파구(0.22%)도 저밀도 재건축 사업 일정이 탄력을 받지 못하면서 20평형대 이하가 0.1% 내려섰다.

반면 추가 상승여력이 있는 구로.강북.금천.노원구 등 외곽지역은 지난 주에도 0.5~0.8%대의 상승률을 보였다.

신도시는 산본.중동.일산 등이 0.4~0.66% 오른 반면 2주 전 1.01%나 뜀박질했던 평촌은 지난 주 0.12%로 오름세가 주춤했다. 물건이 부족하고 수요도 줄어든 탓이라는 게 현지 중개업소의 설명이다. 분당도 계약건수가 줄면서 0.32% 오르는 데 그쳤다.

이와 함께 지난주 서울 아파트 전셋값 상승률은 0.54%로 그 전주의 0.73%보다 0.19%포인트 낮아졌다. 강북.종로.강동.도봉구 등이 1% 이상의 상승률을 기록했지만 강남.송파.서초구 등지의 45평형 이상 대형은 내림세로 돌아선 곳도 있다. 신도시 전셋값 상승률도 0.85%로 그 전주의 1.1%에 미치지 못했다. 수도권 상승률은 0.74%로 전주의 0.71%와 비슷했다.

서미숙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