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JP 공동정권 결별 위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김대중(金大中.DJ)대통령과 자민련 김종필(金鍾泌.JP)명예총재 사이의 DJP공조를 바탕으로 유지되던 공동정권이 결별위기를 맞았다.

여야는 지난 1일 총무협상 후 국회 본회의를 열어 임동원(林東源)통일부장관 해임건의안 보고 절차를 마쳤으며, 이 해임안은 3일 표결 처리된다. 의석분포로 볼 때 해임안은 가결될 가능성이 크다.

이와 관련, 양측은 2일 밤 다각 접촉에서 '해임안 표결-공조 파기' 로 이어지는 파국을 막기 위한 절충을 벌였다. 여권의 소식통은 "3일 오후 국회 본회의 개회 전까지는 극적 타결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고 말했다.

林장관 해임안 가결 후 공조가 붕괴되면 민주당.자민련.민국당의 3여(與)정책연합은 와해되고, 이한동(李漢東)총리와 자민련 출신 장관들 및 정부 산하단체 기관장들의 철수 문제가 대두할 전망이다. 李총리는 자민련 총재로서는 표결에 참여해야 하지만, 각료의 임명을 제청한 총리로서는 표결에 반대해야 하는 입장이어서 3일 중 거취 표명을 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별도로 민주당에서 자민련으로 이적한 일부 의원들이 "해임안이 가결되면 탈당하겠다" 고 밝히고 있어 자민련이 국회 교섭단체 자격을 상실할 가능성이 있다.

청와대 박준영(朴晙瑩)대변인은 2일 "林장관 해임은 화해 협력 정책과 통일로 가는 데 영향을 미치는 문제" 라고 거듭 강조했다. 민주당은 1일 청와대 최고위원회의에서 "표결 후엔 공조가 어렵다" 고 의견을 모았다.

반면 김종필 명예총재는 林장관 자진사퇴를 거듭 요구한 뒤 "이건 내 신념의 문제다. 해임안이 표결 처리되면 제 갈 길을 가는 것" 이라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앞서 양측은 지난 주말 한때 '표결과 공조 분리' 쪽으로 의견을 모아 결별은 피하는 듯했으나, 청와대가 "자민련이 해임안 표결에 찬성하면 공조는 유지되기 어렵다" 는 강경입장을 확정해 절충이 무산되고 대치상태로 되돌아갔다.

한편 청와대는 "林장관 해임건의안이 국회를 통과해도 해임결의안과는 달리 법적 기속력이 없다" 고 입장을 정리해 해임안이 가결될 경우에도 林장관 거취를 둘러싼 논란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김진국.이양수.전영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