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략·대국주의 넘어 열린 아시아 새 문명 창조하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제5회 ‘한·중·일 30인회’가 19일 일본 나라시 신공회당에서 열렸다. 참석자들이 ‘변화하는 세계와 한·중·일의 역할’이란 주제로 토론하고 있다. [나라=강정현 기자]

“일본은 침략주의, 중국은 대국주의, 한국은 한(恨)의 문화에서 탈피해 아시아의 새로운 문명을 창조해야 한다.” 우메하라 다케시(梅原猛) 일본 교토시립예술대 명예교수는 한·중·일이 미래지향적 동아시아 공동체를 만들기 위해선 3국 모두 과거로부터의 탈피가 절실하다고 역설했다.

19일 일본 나라(奈良)시 신공회당(新公會堂)에서 개최된 제5회 ‘한·중·일 30인회’에서 우메하라 교수는 3국 협력을 저해하는 최대 요인으로 일본의 ‘탈아입구(脫亞入歐·아시아에서 벗어나 서구로 들어감)’ 정책을 지적했다.

우메하라 교수는 세계의 중심이 서구에서 아시아로 이동하고 있는 현 시기에 한·중·일 3국에 의한 진정한 아시아 시대는 일본이 ‘탈아입구’가 아닌 ‘귀아친구(歸亞親歐·아시아로 복귀하며 서구와는 친하게 지냄)’의 정책을 펼칠 때 비로소 가능하다고 말했다.

한국·중국·일본의 각계 저명 인사로 구성된 한·중·일 30인회 참석자들은 서구의 쇠퇴와 아시아의 부상에 공감하면서 이를 상징적으로 보여 주는 2010 주요 20개국(G20) 서울 정상회의의 성공을 위해 함께 노력하자는 데 의견 일치를 봤다. 한국 측 대표인 이홍구 전 총리는 기조연설을 통해 “세계적 금융위기 이후 G7보다는 G20이 새로운 국제경제 질서를 논의하는 회의체로 적절하다는 여론이 일고 있다”며 “이 같은 역사적 전환기에서 한·중·일은 세계가 당면한 과제에 공동의 해법을 내놓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명자 전 환경부 장관은 “G20 서울 정상회의에 한·중·일 3국의 힘을 모으자”고 제안해 큰 호응을 받았다.

중국 측 대표인 쩡페이옌(曾培炎) 전 부총리는 “금융위기 회복 조짐과 함께 고개를 드는 보호무역주의를 경계하자”며 “달러 위주가 아닌 새로운 국제통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회의에선 또 다음 달 한국에서 열리는 한·중·일 3국 정상회담에 대한 제언도 제시됐다. 일본 측 대표 나카소네 야스히로(中曾根康弘) 전 총리는 “국제 관계는 정상 간 신뢰가 가장 중요하다”며 한·중·일 정상 간의 (원격화상을 통한) 정보기술(IT) 회의 개최를 제안했다.

특별취재팀=유상철·신경진(중국연구소 기자·연구원), 박소영·김현기(도쿄특파원), 강정현(영상부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