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현장 이 문제] 공사장 주변 안양 수해지역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지난달 15일 집중호우 때 침수피해를 본 경기도 안양시 석수2.안양2동 주민들이 졸속 행정과 건설회사의 수방대책 소홀 때문에 피해가 커졌다며 20여일째 담당자 문책과 보상을 요구하는 시위를 벌이고 있다.

이에 대해 안양시와 건설회사측은 예상치 못했던 천재지변이라며 주민들의 요구를 외면하고 있다.

◇ 주민 반발=석수2동 5백50가구 주민들은 지난달 15일 오후부터 시청에서 연일 항의농성을 벌이고 있다. 이들은 D건설이 맡고 있는 경부고속철도 석수터널 공사장에서 흘러내린 엄청난 양의 토사가 마을 하수구를 막는 바람에 빗물이 곧바로 빠져나가지 못해 피해를 보았다고 주장했다.

특히 지난 5월부터 건설회사와 시측에 10여차례에 걸쳐 철저한 수방대책을 요구해 왔으나 묵살됐다는 것이다.

주민 李모(45.회사원)씨는 "이곳은 수해를 상상하기 어려운 고지대" 라며 "대책없이 공사를 강행한 건설사와 이를 묵인한 시가 책임져야 한다" 고 말했다.

이와 관련, 주민들은 45억7천5백만원의 피해보상비를 우선 안양시가 지급하고 추후 D건설사에 구상권을 행사할 것을 요구했다.

하지만 D건설은 도배.장판.식비 등으로 4억3백만원만 지급하겠다고 맞서고 있다.

이에 대해 신중대(愼重大)안양시장은 적절한 보상이 이뤄지도록 노력하겠다고 약속했다.

또 4명이 숨지고 3백60가구가 침수된 안양2동 주민들도 보상을 요구하고 있다. 이들은 "시가 삼성천 상류의 안양유원지를 재개발하면서 건축 폐자재를 방치해 큰 피해를 봤다" 고 주장했다.

게다가 떠내려온 건축자재가 지난해 삼성천에 낮게 건설한 삼성7교의 교각에 걸리는 바람에 피해가 커졌다며 흥분하고 있다.

안양시의회 이상인(39)의원은 "시가 적절한 수방대책도 없이 유원지 재개발 사업을 추진한 데다 공사장의 각종 폐 건축자재 등이 급류에 휩쓸려 수해를 가중시켰다" 며 안양시의 성의있는 보상을 촉구했다.

정찬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