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북한 산업시설 어떻게 도울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지난 4일 열린 북.러 정상회담을 계기로 북한의 산업시설 보수작업이 관심을 끌고 있다.

북.러 정상이 발표한 '모스크바 선언' 에 "양국 공동의 노력으로 건설된 기업소들, 특히 전력부문 기업소의 개건(改建)계획을 우선적으로 실현한다" 는 대목이 명시돼 있기 때문이다.

북한은 최근 전력부문 기업소 및 대규모 공장 40여개의 현대화에 총력을 기울여왔다. 정부의 한 당국자는 "지난해 7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북한 방문 이후 러시아 기술진이 이들 산업시설에 대한 실태조사를 한 적이 있다" 고 말했다.

구 소련이나 러시아의 협조로 건설된 대표적인 기업소는 평양.동평양.북창 화력발전소 등 화전(火電)과 김책제철소.승리화학공장 등이다.

동평양화전은 1990년대 후반 러시아의 협력으로 1단계 공사가 마무리됐으나 2단계 공사는 중단된 상태다. 국내 북한경제 전문가들은 이들 시설이 대개 70, 80년대에 지어져 정상가동하려면 원료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대대적인 시설 보수가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북한.러시아간의 합의와 관련, 공장설비 교체에 들어가는 막대한 자본을 어떻게 조달하느냐도 과제다.

삼성경제연구소 동용승(董龍昇)북한연구팀장은 "러시아는 북한의 에너지 및 기계설비 현대화를 지원하기 위해 제3국 자본을 끌어들이려는 구상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며 "남한을 비롯해 제3국 자본을 어느 정도 끌어들이느냐에 따라 북.러 경협의 성공 여부가 결정될 것" 이라고 내다봤다.

정창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