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수사] "법인만 고발회사는 주말께 소환조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6개 언론사 탈세혐의 고발사건을 수사 중인 검찰은 고발장 접수 나흘째인 3일에도 국세청 조사자료 분석과 고발인 조사를 계속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검찰 관계자는 "현재로선 자료검토를 통해 수사계획을 세우는 것이 최우선 과제" 라고 밝혔다.

이번 수사를 담당한 특수부장들도 "자료를 분석하는 단계이기 때문에 소환일정.수사계획 등 아무 것도 결정된 것이 없다" 며 말을 아꼈다.

이런 가운데 몇몇 언론사의 경우 자료분석이 마무리되고 있어 이르면 주말께 회계실무자 등이 소환될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서울지검 관계자가 "법인체만 고발된 회사는 생각보다 사건을 간단히 정리할 수도 있을 것 같다" 면서 "확답할 수는 없지만 이번 주말께 소환 조사가 가능할 수도 있다" 고 밝힌 것이다.

검찰은 국세청 고발자료 검토와 국세청 직원들을 통한 고발인 조사에서 사건의 윤곽을 상당부분 파악한 것으로 보인다.

검찰은 특히 사주(社主)가 함께 고발되고 국세청 조사에서 수십개가 넘는 차명계좌를 사용한 것으로 드러난 언론사들에 대한 수사를 위해 자료분석 작업에 큰 기대를 거는 눈치다.

검찰 관계자는 "언론사의 거래처 등 국세청 고발자료 이외의 자료검토 의사를 밝힌 검사도 있었지만 고발자료를 완벽하게 숙지하는 게 급선무이기 때문에 허락하지 않았다" 고 말했다.

이처럼 검찰은 각 언론사 조사를 담당했던 국세청 직원들을 통해 자료파악에 열을 올리는 한편 이례적으로 기초조사 단계부터 수사검사를 증원하는 등 '초반 승부' 에 적잖은 공을 들이고 있다.

대형 탈세사건을 수사했던 한 검사는 "한정된 시간 내에 고발 내용을 소화해야 하는 수사 초기에 국세청 직원들의 도움이 수사의 방향을 잡는 데 큰 역할을 했다" 며 "수사의 성패는 이들과 얼마나 잘 호흡을 맞추느냐에 달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고 말했다.

정용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