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분석] ‘강성대국 목표’ 2년 앞으로 … 다급한 방중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2면

“더는 버티기 힘든 경제를 살려내고, 2012년으로 설정한 강성대국 건설의 기틀을 다지기 위해선 지금밖에 때가 없다는 판단에서일 것이다.”

북한·중국과 밀접한 외교 소식통들은 31일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방중 임박설에 이런 분석을 내놓았다. 현재 김 위원장의 처지는 안팎으로 어렵다. 북한은 지난해 5월 2차 핵실험을 한 이래 전례 없이 강한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를 받아왔다. 지난해 11월 단행한 화폐개혁까지 실패로 끝나 경제난은 한층 가중됐다. 자칫하면 ‘2012년 강성대국 건설’ 공약과 3남 김정은의 후계체제 구축이 차질이 빚어질 가능성이 있다.

이에 따라 김 위원장은 중국으로부터 대규모 경제지원을 끌어내면서 중국을 대북제재 전선에서 다소나마 이탈시켜 고립을 탈피하려는 의도에서 방중을 결심했을 것이라고 소식통들은 분석했다.

유명환 외교통상부 장관도 지난달 25일 언론 인터뷰에서 “시기상으로 북한이 처한 상황을 볼 때 김 위원장의 방중 가능성이 있으며, 그가 방중하면 6자회담 재개로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북한은 지난 2월 김 위원장의 생일 때 고위관리·장성들에게조차 선물용 ‘물표’를 주지 못했을 만큼 파탄 상태”라며 “4월 15일 김일성 주석의 생일마저 그렇게 넘길 수 없는 만큼 김 위원장에게 방중은 필수적이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10월 방북했던 원자바오 중국 총리는 김 위원장에게 각종 경제지원을 약속했다. 이후 북한이 6자회담 복귀를 계속 거부함에 따라 이 약속들이 제대로 실현됐는지는 불투명하다. 김 위원장이 방중하면 6자회담 복귀 의사를 밝혀 중국의 대북 지원 이행과 추가지원 약속을 끌어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관측된다.

그러나 김 위원장이 “조건만 맞으면 우리도 6자회담에 나갈 의지가 있다”는 식의 원론적 언급에만 그쳐 비핵화 프로세스를 더 정체시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강찬호 기자

김정일 위원장 집권(1994) 이후 방중 일지

▶1차 방중: 2000년 5월 29~31일 (2박3일)

-1994년 집권 뒤 은둔 6년 만에 국제사회에 처음 모습 보여

-장쩌민 주석과 첫 정상회담. 6·15 남북 정상회담 직전 중국 지도부와 사전 협의 의미도

▶2차 방중: 2001년 1월 15~20일 (5박6일)

-상하이 첨단 산업시설 시찰 후 “상하이가 천지개벽” 언급

-중국 개혁·개방 성과에 ‘큰 충격’ 표명. 이듬해 7·1 경제개혁조치, 9월 신의주 특구 발표

▶3차 방중: 2004년 4월 19~21일 (2박3일)

-후진타오 등 중국의 새 지도부와 회담 및 면담. 2002년 2차 북핵 위기 발발 이래 첫 방중

▶4차 방중: 2006년 1월 10~18일 (8박9일)

-최장 일정. 중국 개혁·개방에 관심 과시하며 남부 경제특구 집중 시찰. 북한 내 강경파 견제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