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코치] 햇볕 쬐며 운동하면 좋은 이유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헬스코치

한국체대 스포츠의학 오재근 교수

지난 겨울이 유난히 춥고 눈도 많았던 탓일까. 요즘 낮에 비춰지는 햇빛이 한결 따사롭고 정겹다. 바야흐로 만물이 생동하는 계절, 봄이 오고 있다.

자연의 섭리에 따라야 건강하다고 하는 한의학에서는 겨울 석 달을 ‘폐장(閉臧)’이라 하고, 봄 석 달을 ‘발진(發陳)’이라 한다. 하늘도 땅도 얼고 움추러 드는 겨울이 지나면 만물이 피어나고 퍼지는 봄이 온다는 뜻이니 참 적절한 표현이다.

우리의 몸도 자연의 변화에 따라 겨울에는 적게 움직이고 봄에는 많이 움직이게 된다. 잠도 겨울에는 해를 따라 일찍 자고 해가 뜬 다음 늦게 일어나지만, 봄에는 늦게 잠자고 일찍 일어나서 산책을 해야 생기가 돋게 된다고 한의학에서는 말하고 있다. 겨울을 잘못 보내면 봄에, 봄을 잘못 보내면 여름에 병이 생긴다고 경고하고 있다.

모든 동식물이 기지개를 켜는 햇빛이 많은 봄에는 미운 마음도 봄눈 녹듯 해야 한단다. 남을 살리되 죽이는 마음을 먹지 말고 주기는 하되 뺏지는 말라고 한다. 햇빛은 이렇게 사람의 몸과 마음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하기야 태양 자체가 지구의 에너지원 아닌가.

원래부터 신체는 빛과 어둠에 의해 길들여지고 그 주기에 맞추어 살도록 유전학적으로 프로그램되어 있다. 인체 내에는 24시간 주기에 맞춘 생체시계(body clock)가 내장되어 있다.

이 생체시계는 환경에 따라 변하는데 주로 햇빛이 비춰지는 시간, 잠자는 시간, 식사 시간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체온, 산소섭취량, 심박수, 혈압 등이 24시간의 주기와 리듬을 가지고 높아졌다가 낮아졌다가 하며, 이에 따라 호르몬 분비도 증가되었다가 감소되었다가 하게 된다.

생명체의 에너지 근원인 빛은 필요한 영역별로 체내에 흡수되어 각 세포의 에너지 순환을 증가시킨다. 그에 따라 효소가 증가되고 단백질 합성이 늘어나서 심장근을 포함한 모든 근육의 기능이 좋아진다. 자외선 형태의 빛은 피부층의 콜레스테롤에 흡수되어 비타민 D를 만들고, 비타민 D는 칼슘을 만드는 등의 여러 가지 치료역할도 해 왔다.

햇빛은 운동에도 많은 영향을 미친다. 빛을 쬐면 운동능력이 향상되면서 운동피로물질이 감소되는데 연구결과 수영시간이 길어졌다. 구체적으로 몸에 좋은 콜레스테롤은 증가시키고 몸에 나쁜 콜레스테롤은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심장근을 포함한 모든 근육기능을 좋게 만들어 1회 심박출량 증가나 안정시 심박수 감소를 가져온다고 한다. 더욱이 심장근과 호흡근의 피로도 또한 감소시켜 준다고 밝혀졌으니 고지혈증이 있거나 심장병이 있는 사람들은 햇볕을 쬐면서 하면 운동효과가 더 좋겠다.

아예 미국스포츠의학회에서는 나이 들면 하루에 최소 20분 이상 야외에서 햇볕을 쬐며 운동하는 것이 좋다고 권장하고 있다. 노인들의 경우 골다공증에도 좋지만 기분을 좋게 만들어 우울증을 예방해 주는 효과가 있다고 한다. 따뜻한 봄날씨라면 바깥에서 운동하기에 안성맞춤이다.

하지만 햇빛이 항상 좋은 것만은 아니다. 햇빛이 너무 뜨거울 때나 스모그가 심할 때 운동하는 경우에서는 평소와 비교해서 3배에서 10배까지 몸에 나쁜 활성산소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햇빛의 세기나 햇빛을 쬐는 시간이 너무 길면 건강에 좋기는커녕 피부의 노화가 빨리 진행될 뿐만 아니라 피부 염증은 물론 심하면 암도 발생하게 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한의학에서는 말하고 있다. ‘지나친 것도 부족한 것도(過不足) 모두 병이다’ 라고. 어떤 것은 안 그렇겠는가.

한국체육대학교 스포츠의학 오재근 교수

오재근 교수의 SPORTS & HEALTH 칼럼 더 보기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