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자원봉사 지원자 태부족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부산에서 자원 봉사자로 나서려는 사람이 드물어 시민의식 실종이 우려되고 있다.

자원봉사자를 통해 행사 등을 치르려는 기관.단체들은 "힘들고 어려운 일을 하지 않으려는 현상이 자원봉사에서도 그대로 나타나고 있다" 며 맥이 빠져 있다.

부산아시아경기대회 조직위원회는 3월1일부터 이달 말까지 아시안게임 때 활동할 자원봉사자 2만2천 명을 모집하고 있다.

그러나 지난 16일까지 신청자는 5천4백35명. 조직위는 이런 추세라면 마감때까지도 7천명을 넘지 못할 것으로 보고있다.

조직위 관계자들은 이달 중순부터 대학.종교단체.사회단체 등을 찾아다니며 '자원봉사' 를 요청하고 있지만 별 성과를 얻지 못한 상태다.

조직위 정의봉(鄭義鳳)인력물자부장은 "비상 대책을 세우지 않으면 행사를 치를 수 없는 상황" 이라고 말했다. 조직위는 대학의 관광.어학 관련 학과장 등을 만나 "학생들이 단체로 자원봉사에 나설 수 있도록 자원봉사를 학점으로 인정해 주고 아시안게임 기간에 중간고사를 치르지 않도록 해달라" 고 부탁하고 있다.

게다가 시가 시민들을 대상으로 1998년 3월1일부터 운용해온 '복지자원봉사 점수 저축제' 도 3년여동안 별 성과를 얻지 못하고 있다.

부산시의 유인책 부족 등으로 시민들의 참여가 기대를 훨씬 밑돌고 있기 때문이다. 이 제도는 봉사 활성화를 위해 시민들에게 봉사 난이도에 따라 일정한 점수를 부여, 누적 점수대별로 인센티브를 주자는 취지다.

관련단체의 한 관계자는 "부산에서 몸이 불편해 집에만 있는 2만 명을 제대로 살피려면 1만 명의 자원봉사자가 필요한데 봉사자는 5천4백여 명밖에 안된다" 며 "힘든 분야일수록 자원봉사자가 줄고 있다" 고 말했다.

부산진구는 4월 한달 간 불우이웃과 소년소녀가장을 돕는 자원봉사자 2백50명을 모집하고 있지만 17일까지 신청한 봉사자는 60여명에 불과하다.

이에 대해 신라대 정홍섭(鄭弘燮)교수는 "정보화 시대가 닥친데다 개인주의 성향까지 강해지면서 사람들이 힘든 일을 기피하는 경향도 늘어났다" 며 "이득이 없는 자원봉사에 점점 나서려 하지 않는다" 고 말했다.

정용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