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기사건 30년간 9배 증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6면

1970년에 비해 99년 전체 범죄 발생 건수는 4.2배, 인구 10만명당 범죄 발생 건수는 2.6배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법무부 산하 법무연수원이 최근 펴낸 '범죄 백서' 에 따르면 70년 전체 범죄 발생 건수는 33만3천건이었으나 99년에는 1백73만2천건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살인.강도.강간.방화 등 강력 범죄는 70년 3천4백건에서 99년 1만5천6백건으로 3.6배 증가했다.

또 인구 10만명당 범죄 발생 건수는 70년 1천35건에서 99년 3천6백건으로 2.6배 늘어났다.

특히 강력 범죄는 10.6건에서 33.4건으로 2.2배 가량 증가했다.

경제 규모가 커지면서 사기.횡령.배임.절도 등 재산 관련 범죄도 급증했다. 사기는 30년 전에 비해 무려 8.8배나 늘어났으며 남의 돈을 가로채는 범죄(횡령)는 2.3배나 됐다.

특히 IMF를 겪은 98년에는 재산 범죄 발생 건수가 33만9천여건으로 97년보다 14.5% 증가, 지난 30년간 재산 범죄가 가장 많았던 해로 기록됐다.

범죄를 저지른 여성은 90년 전체 범죄자 가운데 9.9%에 불과했으나 99년에는 15.8%로 확대됐다.

여성 범죄자 수는 10년간 1백58% 늘어난 가운데 여성의 재산 범죄는 4백14%나 증가했다. 범죄로 소년원에 수감된 청소년들도 80년 1천5백50명에서 99년 3천1백명으로 20년 사이 2배로 불어났다.

90년 4천2백22명이던 마약 사범은 99년 1만6백여명으로 늘어났으며 이중 히로뽕 투여 및 밀매 사범은 4배 이상 증가했다.

법무연수원측은 "인구 증가.도시화에 따라 범죄 특성도 크게 변화하고 있다" 며 "특히 규모가 커지는 재산 범죄에 대해 수사당국이 다양한 수사 기법을 개발하는 등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고 지적했다.

박재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