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gic English] We have paid our…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9면

미국에선 아이들이 고등학교를 졸업하면 독립해 나가기에 중년의 부모들만 남게된다.미국인들의 평균 수명(average life expectancy)이 75세임을 감안하면 자녀들의 독립후 거의 20년을 노부부끼리 산다는 얘기다.

늙어 외로워하는 노인(senior citizen)들도 있지만 대체로 미국 부모들은 자녀들이 빨리 독립해 부부만의 생활을 할 수 있길 열망한다.

그래서 가끔 TV ·영화를 보면 자녀를 대학으로 떠나보내면서 아주 슬픈 표정을 짓던 부모가 자녀가 떠나자마자 자녀가 쓰던 방을 개조해 서재(study)를 만든다든지 아니면 다른 실용적 공간으로 바꾸는 장면들을 볼 수 있다.드라마에서 다소 과장하는 면은 있지만 어쨋든 미국 부모들은 아이가 어느 정도 성장하면 독립하는 것을 당연시 한다.

A:You must be heartbroken since John decided to go away for college.(쟌이 멀리 있는 대학에 진학하기로 한 후 가슴이 매우 아프겠어.)

B:Not at all! We already decided to turn his room into a study.(전혀.애가 써던 방을 서재로 바꾸기로 이미 계획을 세워 놓았어.)

A:Don't you think you guys would miss him?(그애가 그리울 것 같지 않아?)

B:Of course,we will,but now is the time to enjoy our lives.(물론 그리울 거야,하지만 이제 우리의 인생을 즐길 때야.)

A:Well,you guys are really something!(으응,너희 부부는 정말 대단해.)

B:We have paid our dues.(우리는 우리의 의무를 다했어.)

'heartbroken'은 '깨진 심장'이니까 '가슴이 찢어질 듯 아픈'이란 뜻.

"You must be broken-hearted."로 표현해도 같은 의미다.study는 '공부/공부하다/연구하다'란 뜻으로 많이 알려진 단어인데,명사형으로 공부하는 장소 곧 '서재'란 의미도 있다.

guy는 일반적으로 남자를 지칭하지만 이 문장에서처럼 남녀 구분 없이 사용될 수도 있다.'pay one's dues'는 '책임이나 의무를 다하다'는 뜻인데, '고생이 끝나 이제는 즐길 수 있다'는 느낌까지 포함된 숙어 표현이다.

조영재

e-mail: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