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핫코일 분쟁 개입 한미 통상마찰 부를 수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1면

포항제철이 현대하이스코(옛 현대강관)와의 분쟁에 정부가 개입하는 것을 거부하고 나섰다.

유상부(劉常夫.사진)포철 회장은 7일 서울 포스코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포철과 현대하이스코의 '핫코일 분쟁' 에 정부가 조정에 나서는 것은 민간기업 경영에 대한 정부 개입문제로 받아들여져 한.미간 통상마찰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고 말했다.

劉회장은 "지난 5일부터 공정거래위원회가 '핫코일 분쟁' 과 관련한 조사를 하고 있다" 면서 "조사를 통해 포철이 불공정거래 기업인지, 과잉 냉연설비가 문제인지 등이 밝혀지기 바란다" 고 밝혔다.

그는 "미국 정부나 철강업계는 한국 정부에 철강업에 간섭하지 말라고 주장하고 있다" 면서 "이런 마당에 산업자원부가 핫코일 분쟁 조정에 나설 경우 국익에 반하는 결과를 가져오지 않을까 염려된다" 고 말했다.

그는 한국철강협회.포철의 통상자문변호사인 도널드 카메론도 정부 개입을 우려하는 경고 서한을 보내왔다고 소개했다.

劉회장은 이날 동기식 차세대 이동통신(IMT-2000)사업과 관련, "주도적으로 참여할 형편이 못되며, 지분 참여도 현재로선 생각지 않고 있다" 고 말했다.

그는 "한국통신 민영화에도 현재로선 참여할 계획이 없지만 수익성과 성장성이 보장된다고 판단되면 한통을 포함한 어떤 신규사업에도 참여할 가능성이 있다" 고 말했다.

劉회장은 연평균 환율을 달러당 1천2백59.70원으로 잡고 3분기부터 철강 국제가격이 반등한다는 가정 아래 올해 포철의 매출은 11조6천억원, 순이익은 1조2천억원으로 전망했다.

한편 포철은 철강사업의 성장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올해부터 2005년까지 정보통신.에너지.바이오.환경 등 미래 성장산업에 4조2천억원을 투자한다고 발표했다.

분야별로는 차세대통신 사업에 3천7백억원을, LNG 발전소 건설 등 민자 발전사업에 1천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포철은 이와 함께 2005년까지 3조원을 조성, 신사업 참여를 위한 예비투자비로 쓸 계획이다.

또 주가관리를 위해 3월 주주총회 직후 지난해 6월 취득한 자사주 3%(2백89만주)를 즉시 소각키로 했다.

김동섭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