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우병 공포… 음식물 쓰레기 재활용 위축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5면

동물성 식품이 포함된 음식물쓰레기가 소 사료로 활용된 사실이 밝혀지면서 음식물쓰레기 자원화 사업에까지 파문이 번지고 있다.

현재 전국에서 발생하는 음식물쓰레기의 양은 생활쓰레기의 25% 정도인 하루 평균 1만1천3백50t. 이중 가축사료로 쓰이는 양은 음식물쓰레기의 30%인 3천4백40t 정도다.

이 가운데 일부가 전국 1백48개의 민간.공공 음식물쓰레기 사료업체로 보내져 하루 1백83t의 사료가 생산된다.

특히 문제가 되는 것은 7개 업체에서 생산된 하루 22.3t의 음식물쓰레기 사료가 소에게 공급된 사실이다.

이는 1천여마리의 소를 사육할 수 있는 양이어서 지금까지 알려진 4백마리보다 훨씬 많은 소가 동물성 성분이 포함된 음식물쓰레기에 노출된 셈이다.

이에 대해 농림부나 환경부는 "동물성 성분이 포함돼 있다 하더라도 음식물쓰레기에 광우병을 일으키는 병원체가 없는 만큼 걱정할 필요가 없다" 는 입장이다.

그러나 사료로 쓰이는 음식물쓰레기 가운데 하루 2천t 이상이 구내식당.집단급식소 등에서 곧바로 사육농가로 전달되고 있다.

이는 보통 돼지.오리 등 잡식성 가축에게 먹이지만 소에게 먹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고 관리감독도 쉽지 않다. 광우병이 혹시 국내에 전파된다면 감염 경로가 될 수 도 있다.

환경부 관계자는 "부패 우려가 있는 단독주택 등의 음식물쓰레기는 주로 퇴비로 활용할 방침" 이라고 말했다.

강찬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