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위, 민주당-법무부 줄다리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6일 오전 민주당 인권법제정 소위(위원장 鄭大哲최고위원)가 소집됐다.

'국가인권위원회법 제정' 문제를 마무리하려던 전날 당정회의에서 김정길(金正吉)법무부장관이 기존 입장을 고수했기 때문이었다.

당초 민주당 의원들은 법무부의 유연한 입장을 기대했다. 인권위의 법적 지위를 '국가기구' 로 하느냐, '민간기구' 로 하느냐의 문제는 1년여 동안 끌어온 논란거리다.

더구나 이날 민주당이 최고위원회를 통해 '국가기구가 당론' 이라고 공표했기 때문에 '金장관이 양보할 것' 으로 민주당측은 생각했다. 그런데 金장관은 '민간기구여야 한다' 는 입장을 바꾸지 않았다.

鄭최고위원이 "인권법 제정을 더 미룰 수 없다. 법무부가 협조해달라" 고 거듭 요청했지만 金장관은 "국가기구는 또다른 권력의 창출이며 옥상옥(屋上屋)" 이라고 맞섰다.

거꾸로 "법무부와 검찰을 밀어달라" 고 부탁했다.

이에 민주당측은 "그런 식으로 이야기하면 오늘 회의 자체가 어렵다" 고 몰아붙이려 했지만 金장관은 "양보할 수 없는 문제" 라고 버텼다.

金장관의 이런 입장표시는 이날 밤 법무부 간부와 민주당 법조 출신 의원들과의 저녁식사 자리에까지 이어졌다.

"인권보장 문제는 국가가 최종 책임을 져야 하며 민간기구는 사실상 종이방망이에 불과하다" (李鍾杰의원)는 주장에 대해 金장관은 "(인권위가)국가기구가 되면 감사원 역할밖에 발휘하지 못한다" 고 지적했다.

金장관의 이런 자세를 놓고 당 관계자는 "인권위가 힘있는 기관이 돼 검찰을 감시.감독하게 될 상황을 의식한 것" 이라고 주장했다.

반면 정부 관계자는 "고충처리위 등 기존 국가기관과의 업무 중복에다 입법취지와 달리 예견되는 부작용을 고려한 소신있는 자세" 라고 평가했다.

민주당측은 끝까지 金장관이 양보하지 않을 경우 당 안(국가기구)으로 법안을 제출, 이번 임시국회에서 처리할 방침이다.

김정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