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증시 잠잠 건설주는 급락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1면

21일 금융시장은 헌법재판소의 신행정수도 건설 특별법 위헌 결정에도 불구하고 크게 흔들리지 않았다. 주식시장에선 수도 이전 혜택을 볼 것으로 기대했던 건설주들이 급락하기도 했으나 전반적으론 곧 하락폭을 줄이며 안정을 되찾았다. 채권시장의 지표금리인 국고채 3년물 금리도 0.01%포인트 하락하는 데 그쳐 연 3.55%로 마감했다.

금융시장 전문가들은 지금 당장보다 앞으로 벌어질 상황을 더 걱정했다. 무엇보다 정부 정책에 대한 신뢰성에 흠집이 났고, 앞으로의 경제 운용에도 '불확실성'이 높아지게 됐다는 것이다.

전병서 대우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정부가 추진하던 정책이 삐걱거리고 있다는 점에서 한국에 대한 외국인들의 신뢰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한국경제연구원 배상근 연구위원은 "행정부의 정책에 대한 신뢰성이 떨어짐으로써 불확실성이 가중될 수 있다는 점이 우려스럽다"고 지적했다.

향후 경기에 미칠 영향에 대해선 진단이 엇갈렸다. LG경제연구원 오문석 상무는 "행정수도 이전이 전국 규모의 사업은 아니었던 만큼 충청지역을 중심으로 건설경기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정부가 대안으로 다른 국책사업을 마련하면 거시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하나경제연구소 배현기 팀장은 "기업도시 등과 맞물려 건설경기 연착륙에 상당한 기여를 할 것으로 예상되던 수도 이전 사업이 중단될 경우 건설업종이 큰 충격을 받을 것"이라며 "한국형 뉴딜로 대표되는 일련의 경기 부양정책의 주된 축이 무너지게 됐다"고 지적했다.

금융시장 움직임에 대한 시장 전문가들의 의견은 비슷했다. 당분간 지난 5월 대통령 탄핵 당시와 마찬가지로 큰 동요는 없을 것으로 전망했다.

서경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