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핫이슈] 김해 경전철 찬반 논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2면

▶ 지난 14일 열린 경전철 조기착공을 바라는 범시민대책위 출범식.

연말 착공예정인 부산~김해 경전철 건설을 놓고 조기 착공과 부산지하철 연장 논란이 뜨겁다. 조기착공을 바라는 시민들은 지난 14일 김해시 대성동 고분박물관 앞에서 ' 경전철 조기착공 범시민대책위 '를 발족했다. 지하철 연장을 요구하는 시민들은 ' 부산지하철 유치 범시민 위원회 '를 23일 출범할 예정이다. 두 단체의 활동이 본격화하면서 시민들의 반응도 엇갈리고 있다.

◆ 지하철 연장=혜진(은하사 주지) 스님 등 72명은 지난달 17일 경전철 사업중단을 요구하는 청원서를 국회에 냈다. 이들은 "10여년전 경전철 계획 당시엔 부산~김해간 교통수단이 버스뿐이었으나 2005년 개통 예정인 부산지하철 3호선이 김해 대저까지 연결되는 등 교통 여건이 크게 바뀌었다"며 "장기적으로 부산 지하철 3호선을 내외동을 거쳐 장유까지 15㎞ 연장하는 게 바람직하다"라고 주장했다.

범시민위측는 "1992년 총선때 여당 후보의 공약으로 시작된 경전철 사업이 여건이 달라진 지금도 무리하게 강행되면서 엄청난 적자가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경전철 요금이 지하철 보다 2배쯤 비싸고 ▶도심에 교각 설치로 환경이 훼손되고 ▶ 민간 사업자의 적자보전을 위한 김해시의 재정출혈 등을 문제점으로 꼽았다.

지하철이 아파트 밀집지역인 삼안.활천.동상동과 진영.진례.장유면 등을 지날 수 있어 경전철 보다 예상 승객이 2.6배쯤(경전철 82만여명,지하철 217만여명) 많다는 주장도 덧붙였다.

◆ 조기 착공=부산지하철 연장은 엄청난 건설 비용과 운영비 등을 감안할때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사업이라는 입장이다. 대책위 김종간 위원장은 "경전철 착공을 눈앞에 두고 중단하라는 것은 이해할 수 없다.사업 중단을 요구하는 열린우리당 측도 지난 4월의 17대 총선에서 경전철 조기착공을 공약으로 내걸어 시민의 심판을 받았다는 점을 어떻게 설명할 것이냐"라고 반박했다.

대책위측은 지하철 연장을 검토했던 울산시도 경전철 건설로 돌아서는 등 경전철이 유리하다고 판단하는 자치단체들이 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해지역은 바다를 매립한 연약지반이어서 지하철은 사업비가 많이 들고 난공사가 예상되는 등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다고 강조했다.

대책위는 3만명의 서명을 받아 건설교통부등에 전달하고 차량 스티커 부착,가두 시위,삭발농성 등으로 투쟁수위를 높여간다는 방침이다.

◆ 부산~김해 경전철=부산 사상~김해 삼계동간 23.92㎞ 구간(18개역)에 건설된다. 평균 시속 40㎞의 속도로 30분대에 달린다.예상 사업비는 1조411억원이며 2009년 상반기 운행 목표로 올해말 착공예정이었다.

김상진 기자

*** 바로잡습니다

10월 20일자 12면 ‘김해경전철 찬반 논란’기사 중 혜진(은하사 주지)스님이 경전철 사업중단을 요구하는 청원서를 국회에 냈다는 부분은 사실과 다르기에 바로잡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