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의 독립운동가] 기삼연 선생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9면

국가보훈처가 1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한 성재 기삼연(奇參衍.1851~1908)선생은 구한말 호남 지역에서 의병장으로 활약한 인물이다.

전남 장성에서 태어난 선생은 위정척사 사상의 태두인 기정진의 문하에서 수학하며 민족의식을 키웠다.

명성황후 시해 사건 이후 전국에서 의병이 봉기하자 1896년 3월 '토적복수' 를 내걸고 장성에서 의병을 일으킨 뒤 광주의 기우만.고광순 등과 합세해 의병항쟁의 기세를 크게 떨쳤다.

이후 정미7조약 체결 등으로 국운이 크게 기울자 1907년 호남지역 의병부대를 규합해 '호남창의회맹소' 를 설립, 고창 문수산전투.영광 법성포전투 등에서 큰 전과를 세우다 이듬해 담양 금성에서 일본군의 기습을 받고 대패한 뒤 체포됐다.

광주로 호송된 선생은 "군사를 내어 이기지 못하고 몸이 먼저 죽으니 해를 삼킨 전년의 꿈도 또한 허망하도다" 라는 유언을 남기고 숨을 거뒀다.

정부는 선생의 공훈을 기리어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