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바다에 지자체 '풍덩'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0면

주민대상 e메일 보급,홈페이지 만들어주기, 컴퓨터 교육, 주민정보센터 마련, 인터넷 민원서류 발급...

올들어서도 지방자치단체마다 주민들의 정보화 수준을 끌어올리기 위한 각종 사업을 봇물처럼 쏟아내고 있다.

덕분에 민원서류의 발급과 세금 납부 등 상당한 민원업무가 속속 사이버공간에서 처리돼 그만큼 시민생활이 편리해지고 있다.

◇올해 각종 사업=부산시는 이달 중 인터넷방송국을 개국한다.

‘바다TV’라 불리는 이 방송국은 시정 홍보와 함께 시내 교통 정보도 제공한다. 또 이달 중 민원처리인터넷공개시스템을 구축해 1천4백 종류의 민원 사무에 대해 접수에서 처리까지의 과정을 인터넷에 공개할 계획이다.

광주시는 민자유치 사업으로 인터넷 시민 종합생활정보서비스를 실시한다. 광주시는 이를 위해 시의 모든 공공기관과 공익 시설,생활 편의시설 등과 관련된 무려 10만개에 달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 중이다.

광주시 관계자는 “이 데이터 베이스가 완성되면 뒷골목의 미장원까지 시민생활에 필요한 정보가 총망라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전주시의 경우 주거용 건물을 제외한 상가 2만여곳의 사진 ·취급품목 등을 담은 인터넷 ‘영상정보서비스’를 올부터 운영하기 시작했다.

울산시는 2월부터 면허세 ·재산세 등 10종의 지방세를 인터넷으로 받기 시작한다.대전시와 충북 제천은 ‘과 ·오납 지방세 환불’ 코너를 개설,잘못낸 세금을 인터넷을 통해 돌려준다.

경북도는 최근 농업기술원에 3백평 규모의 농업정보센터를 설립,농민들에게 각종 작물의 영농기술을 인터넷 웹방송으로 지도하는 길을 열었다. 또 복잡한 유통구조 개선을 위해 농수산물 유통시스템을 구축하고 대형 농산물유통센터별 농산물 시세를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충남도의 경우 국내 약초 정보를 체계적으로 정리,6월까지 독자적인 인터넷 홈페이지를 구축한 다음 이를 도민들에게 무료로 제공할 방침이다.

제주도는 숙박 ·음식업소 ·토산품점 ·여행사 등 2천1백36개 관광관련 업체의 정보를 제공하는 ‘사이버관광타운’ 구축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인터넷 보급 ·주민 반응=강원도는 전도민 e메일 갖기운동을 벌이고 있다.현재 41만4천개의 계정을 보급했는데 올해 안에 80만명이 e메일 ID를 가질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강원도는 ‘읍 ·면 지역정보센터’를 만들고 있다. 각 정보센터는 컴퓨터 10대와 프린터,책걸상,랜(LAN)망을 갖추는 것으로 학생들은 PC방으로, 농어민들은 영농정보실로,주부들은 취미생활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올해 21개를 만든 후 내년까지 모두 85개를 구축할 계획.

경북 포항시는 현재 운영중인 포항시전자우편 서비스(ipohang.org)의 이메일을 통해 시민 1만명에게 시정소식 및 각종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또 1단계로 1천명에게 개인홈페이지를 구축해주기로 하고 웹호스팅 서비스에 나섰다.

전주시의 경우는 지난해 2월부터 1백가구 이상 아파트단지에 서 광통신망을 설치할 경우 가구당 3만원씩을 지원하고 있다.

전주시 덕진구 우아동 김진규(45)씨는 “이 덕분에 부담없이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게 됐다”고 기뻐했다.

강원도 태백시 상장동이 지난달 개설한 동사무소 인터넷 홈페이지

‘상장 사이버마을(http://www.taebaek.kangwon.kr/sangjang)’은 한달만에 2천2백명의 주민들이 이용하는 실적을 올렸다.

상장동장 정운교씨(44)는 “올해부턴 주민들 주도로 지역의 업소 현황을 게재하는 등 주민들이 실제 생활에서 도움을 얻을 수 있도록 지원을 늘릴 방침”이라고 말했다.

전국부

사진=김상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