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묶인 투기꾼이 퍼뜨린 헛소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13면

"도대체 어느 말을 믿어야 합니까. 진짜 다시 확대되는 겁니까."(투자자)

"그런 소문은 있는데 저도 장담 못합니다. 개발계획이 워낙 들쭉날쭉해서…." (부동산 중개업소 사장)

▶ 김포 일대 부동산시장이 신도시 규모를 둘러싼 소문 때문에 어수선하다. 사진은 김포신도시 개발 예정부지. [한국토지공사 제공]

14일 경기도 김포시 장기동 H공인중개사무소. 서울에서 온 40대 주부가 김포 땅에 대해 묻고 있었다. 지난 5월 김포시 월곶면의 절대농지를 샀다가 신도시 축소 발표 이후에 값이 떨어져 돈이 묶인 투자자였다. 중개업소 사장은 속시원한 답변을 하지 못했다. 투자를 주선했다가 계약자들로부터 곤욕을 치른 경험이 있어서다.

경기도 김포지역 부동산시장이 또다시 어수선하다. 김포신도시 개발 규모 때문이다. 지난해 5월 480만평으로 지정됐으나 지난 6월 150만평으로 축소됐다가 최근 다시 300만평으로 복원한다는 소문이 나돌고 있다. 김포시 북변동 A공인 관계자는 "규모 복원 기대감이 있는 건 사실이지만 헛소문일 경우 손해를 볼 수 있어 대다수 투자자는 방향을 잡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현지 농민 사이에서도 규모 복원설이 거론되고 있다. 김포 풍무동 S공인 관계자는 "신도시 예정부지에서 제외된 300만평에 속한 주민 중 상당수가 빚을 내 농지를 매입했다. 이들이 규모 복원에 목을 매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나 가격 회복 움직임은 거의 없다. 거래도 뜸하다. 김포시 장기동 현대공인 황동석 사장은 "공장.전원주택 부지의 실거래는 조금 살아났으나 투자 목적의 거래는 여전히 부진하다"며 "절대농지의 경우 규모 축소 이후 호가가 급락한 뒤 변동이 없다"고 말했다.

김포시 월곶.대곶.하성.통진면 등의 농지는 평당 6만~9만원 대로 곤두박질친 뒤 제자리 걸음이다. 이곳 농지는 신도시 규모 축소 발표 이전만 해도 외지인들의 거래가 많아 평당 10만~20만원을 호가했었다. 다만 개발이 가능한 관리지역만 땅값 변동 없이 거래만 줄어든 상태다. 관리지역은 평당 30만~100만원 선을 유지하고 있다.

확대 소문이 도는 것은 김포시의 도시계획 때문. 김포시 도시계획에 따르면 신도시와 연접한 300만평이 '시가화예정구역'으로 지정돼 장기적으로 개발된다. 신도시 개발 주체인 토지공사 관계자는 "시가화예정구역 개발을 신도시 규모 복원으로 확대 해석하고 있지만 신도시는 지난 6월 발표한 150만평 규모에서 변동된 것이 전혀 없다"고 못박았다.

하지만 일부 무허가 중개업자는 '300만평 복원'이 확정된 것처럼 부풀려 투자자를 유혹하고 있다. 특히 외지인들이 공동투자 등의 방식으로 사고팔기를 거듭하며 땅값을 올리는 경우가 많았던 김포 북부와 강화 일대에서 이런 소문이 증폭되고 있다.

JMK플래닝 진명기 사장은 "군사시설보호구역 등의 근원적인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한 개발규모 복원은 불투명하다"며 "신도시 축소로 돈이 묶인 일부 투기꾼들이 이번 기회에 팔고 나가기 위해 소문을 과장한 측면이 있으므로 신중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포 신도시는 장기동.운양동.양촌면에 걸쳐 2만5000가구 규모로 조성된다.

김포=성종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