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 만의 고국무대 …'오네긴' 주역 강수진씨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3면

"'오네긴'의 타티아나는 가장 아끼는 역입니다. 저만의 타티아나를 보여 드릴게요."

독일 슈투트가르트 발레단 수석 발레리나인 강수진(사진.37)의 각오는 남다르다. 강씨는 평소 공연이 없을 때에도 하루 10시간 이상 땀을 흘리는 연습 벌레다. 한 시즌 닳아 헤어지는 토슈즈만도 무려 150여 개. 그는 요즘 밤에는 공연하랴, 낮에는 서울 공연을 준비하랴 눈코 뜰 새 없는 나날을 보내고 있다. 새벽 6시에 일어나 오전 10시 30분 극장에 출근하기 전까지 집에서 연습에 땀을 흘리는 그가 잠시 짬을 내 전화 인터뷰에 응했다.

-소감은.

" 2년만의 고국 무대다. 특히 이번에는 내가 가장 아끼는 작품인 '오네긴'을 공연하게 돼 감회가 남다르다. 공연 시즌이라 오네긴 연습에만 몰두할 수는 없지만 최선을 다해 열심히 준비하고 있다."

-'오네긴'이 각별한 이유는.

"슈투트가르트 발레단의 대표작이다. 흔히들 드라마틱 발레의 완성작이라고 평가한다. 이 작품은 여성의 약한 면과 강한 면을 동시에 보여주고 있다. 주역인 시골처녀 타티아나 역은 달리 굉장히 감성적이고 열정적인 배역이다. 이제껏 해본 역할 중 나한테 가장 맞는 배역이라는 주변의 평가를 받았다. 자랑 같아 민망하지만 1998년 뉴욕 공연 후 평론가들이 '강수진의 공연이었다'고 할 정도로 나와 호흡이 맞는 작품이다."

-연습량이 매우 많다던데.

"아침에 집에서 서너 시간 개인 연습을 하고 오전 10시30분부터 오후 3시까지는 극장에서 한다. 요즘처럼 공연이 있는 날은 오후 5시부터 밤 11시까지 무대에 선다. 그렇지 않을 경우는 오후 6시까지 하루 10시간 정도 더 많은 시간을 연습에 매달린다. 휴일이나 일요일이라 해서 예외는 없다."

-강행군이다. 체력을 유지하는 비결은.

"다행히 체력이 강한 편이다. 가끔 몸이 아플 때 정신적으로 힘들어 지기도 한다. 그럴 때는 남편이 침도 놔주고 마사지도 해줘 다른 무용수들보다는 손쉽게 회복한다."

-최근 유럽 발레계의 동향을 소개한다면.

"규모가 큰 대형 발레단 몇 개를 빼고는 경제적으로 많이 어렵다. 관객 수가 줄어서다. 해마다 무용수들은 계속 쏟아져 나오지만 무대에 설 수 있는 자리는 늘지 않고 있다. 그래서 무용수들이 더욱 노력하고 분발하고 있다. 다행히 역사가 오래된 슈투트가르트 발레단은 관객층이 두터워 별로 영향을 받지 않고 있다."

- 미래의 강수진을 꿈꾸는 한국의 후배들에게 조언을 한다면.

"화려할 것이라는 기대와는 달리 발레리나라는 역할은 생각보다 쉽지 않다. 무엇보다 인내심이 중요하다. 아무리 체격 조건이 좋고 실력이 좋아도 발레를 가슴 속 깊이 사랑해야 한다. 사랑하면 즐길 수 있고, 고통을 견뎌낼 수 있다." 02-399-1114, 5만~20만원.

베를린=유권하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