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래물산 탈세로비 어디까지 뻗쳤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2면

서울지검 특수3부의 수사 결과 정·관계 인사들을 상대로 펼친 의류업체 나래물산의 세금감면 로비활동 윤곽이 드러나면서 나래물산이 과연 어디까지 손을 썼는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특히 국회부의장 보좌관 출신을 영입하고 자금을 마련, 조직적으로 로비를 벌인 것으로 드러남에 따라 요소요소의 인물을 상대로 광범위하게 청탁을 시도하지 않았느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지금까지 알려진 로비 대상은 문민정부 때 의원 2명과 국세청 차장.국세심판소 심판관 등 4명으로 압축된다. 소개를 했던 의원 보좌관 1명도 등장한다.

그러나 로비자금 10억원 중 이들에게 건네진 돈은 6억4천만원밖에 드러나지 않아 나머지 3억6천여만원의 행방이 묘연하다.

민주계 실세였던 A전의원 3억원, 김범명(金範明)전의원 2억5천여만원, A전의원 보좌관 5천만원, 양만기(梁萬基)수출입은행장(사건 당시 국세심판관).임채주(林采柱)전 국세청장(당시 차장) 각각 2천만원이 검찰이 혐의를 두고 있는 로비 액수다.

때문에 로비 액수로만 꿰맞춰 보면 나래물산의 로비 대상이 된 인물이 더 있을 수 있다는 추론이 가능하다.

검찰 주변에선 문민정부 시절 모 지방국세청장에게도 돈이 건네졌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수사과정에서 의외의 인물이 튀어나올 수도 있다.

이와 함께 로비 자금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배달사고가 있었다는 얘기도 들린다. 梁행장은 "브로커가 나에게 돈을 준 것으로 해놓고 빼돌린 것으로 본다" 고 주장한다.

이 경우 배달사고를 낸 사람은 업무상 횡령 등의 처벌을 면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국회의원 보좌관으로 있다 회장으로 영입돼 로비를 주도한 金모씨와 나래물산 사이에 로비 실패에 대한 책임을 놓고 다투는 과정에서 수사망에 걸려들었다는 점도 이같은 가능성을 뒷받침한다.

검찰 관계자도 "나래물산 사장과 金회장 사이에 싸움이 벌어졌다" 고 언급하고 있다.

또 金씨가 심부름꾼을 시켜 돈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배달사고가 있었을 가능성도 있다. 나아가 검찰이 혐의를 두고 있는 사람들에게 건네진 돈이 알려진 것보다 더 많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검찰 수사가 본격 진행되면서 나래물산 세금감면 비리 사건의 실체가 하나 둘 벗겨질 것으로 예상된다.

김진원.채병건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