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국가 인사 100명 발표” 시민단체 ‘친북사전’ 논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1면

보수 성향 민간 단체인 국가정상화추진위원회(위원장 고영주 변호사)가 『친북 반국가행위 인명사전』(이하 『친북 인명사전』)에 올릴 명단 100명을 다음 달 발표한다고 26일 밝혔다.

추진위는 이날 서울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친북·반국가행위 증거가 있는 정·관계와 학계, 종교계, 예술계 인사 중 사회적 영향력이 크고 현재 대외 활동을 하는 사람을 중심으로 1차 대상자 100명을 선정해 12월 공개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1차 명단에는 “정치권 10명, 관계 7명, 노동계·재야운동권 30명, 학계 20명, 종교계 10명, 문화예술계 7명, 언론계 7명, 변호사 3명, 의료계 2명, 해외 활동 인사 2명 등이 포함된다”고 했다. 현직 국회의원·판사·교수 등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일 것으로 전망된다.

전직 대통령은 생존 인사가 아니라는 이유로 대상에서 제외됐다. 1차 명단을 중심으로 내년 3월 『친북 인명사전』 1권을 내고, 5월께 2차 명단 200명을 발표하며, 연말께 2권을 펴낸다는 구상도 내놨다. 추진위가 제시한 친북의 판단 기준은 북한의 노선을 고무·찬양·선전·동조하는 행위다. ‘주한미군 철수, 국가보안법 철폐, 북·미 평화협정 체결’ 등을 주장했으면 이 기준에 적용된다고 했다.

고 위원장은 “2005년 대통령 직속 ‘친일 반민족행위 진상규명위원회’가 설치됐을 때부터 생각해 온 작업”이라며 “최근 민족문제연구소가 낸 『친일 인명사전』에 대한 맞불은 아니다”고 말했다. 경희대 허동현(한국사) 교수는 “『친일 인명사전』에서 노출된 주관적 기준, 사회적 분열 등이 되풀이될 수 있다”고 밝혔다.

배영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