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걷고 싶은 길 만들기' 지역 시민단체 앞장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5면

부산지역 시민단체.부산시 등이 보행환경에 대해 본격적으로 관심을 갖게 된 것은 지난해부터. 시민단체.시민들이 앞장섰다. 부산시도 이들의 활동에 발 맞춰 보행환경개선에 나서고 있다.

부산참여자치시민연대는 지난해 3월 보행권 확보와 보행환경 개선을 위한 조례 제정을 부산시에 청원했다.

부산시는 이를 기초로 지난해 7월 '보행권 회복과 보행환경 개선을 위한 조례안' 을 만들었다. 이 조례는 하반기쯤 제정될 것으로 보인다.

시는 또 보행환경 기본계획을 만들고 있다. 앞으로 5년간 시가 추진할 보행환경 개선사업을 담게 된다.

핵심은 보행환경 개선을 위한 10가지 사업. ▶보행자 권리 확보(보행환경 개선에 관한 기본조례 제정과 보행과 관련한 관계 법규 개정)▶보도 시설물 정비(불법 지장물 철거.불법 주정차 금지 및 주차시설 설치)▶횡단보도 설치▶보도 설치(차도 줄이기)▶차 없는 거리.구역 조성▶우리 동네 보행환경 개선사업▶안전한 골목길 만들기 등이 주요 내용이다.

이 기본계획은 오는 7월쯤 확정돼 시행된다.

부산시 최성실(崔成實)교통기획과장은 "몇 년 전부터 2002년 아시안게임과 월드컵 경기에 대비해 부분적인 보행환경 개선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며 "1차 보행환경 기본계획이 마무리되는 5년쯤 뒤 부산도 어느 정도 걷고 싶은 도시로 바뀔 것" 이라고 말했다.

부산참여자치시민연대는 지난해 11월부터 매달 11일을 '보행자의 날' 로 정해 불법주차 금지 캠페인 등을 벌이고 있다. 이날을 택한 것은 '11' 이 사람의 다리를 상징하기 때문이다.

부산YMCA도 지난해 말 부산시내 보행로 실태조사를 벌여 '깨지고 움푹 패인 인도' 를 고발해 주목을 받기도 했다.

한편 국내에선 서울시가 보행환경개선에 선구자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시는 1995년부터 보행자 중심의 교통체계 개선을 주요 교통정책으로 삼았다.

96년 '서울시 보행권 및 보행환경 개선을 위한 기본조례' 를 제정한 데 이어 98년 '서울시 보행환경 기본계획' 도 만들었다.

서울시는 이 계획에 따라 ▶교차로 횡단보도 복원 및 개선사업▶차 없는 거리.구역 조성사업▶교차로와 교통광장 구조 개선사업 등을 활발하게 추진하고 있다.

강진권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