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법 폐지론 대법원 정면 비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대법원이 북한 체제의 모순점과 표현의 자유에 대한 한계를 지적하며 국가보안법 폐지론자들의 주장을 정면으로 비판했다.

대법원 1부(주심 이용우 대법관)는 지난달 30일 국가보안법 위반(찬양.고무 등) 등 혐의로 기소된 이모(23)씨 등 전 한총련 대의원 두명에 대한 상고심에서 징역 2년6월을 선고한 원심을 확정했다고 2일 밝혔다.

보안법 제7조(찬양.고무 및 이적 표현물 소지죄)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합헌 결정에 이은 대법원의 이 같은 입장 표명으로 보안법 개폐를 둘러싼 정치적.법률적 논란이 거세질 전망이다.

재판부는 판결문에서 "남북한 사이의 교류.협력이 이뤄지고 있다고 해서 북한의 반(反)국가단체성이 사라졌다거나 보안법의 규범력이 상실됐다고 볼 수 없다는 것이 대법원의 확립된 견해"라고 밝혔다.

재판부는 "이런 상황에서 스스로 일방적인 무장해제를 가져오는 조치에는 신중해야 한다"면서 "나라의 체제는 한번 무너지면 회복할 수 없으므로 국가 안보를 위해선 한치의 허술함이나 안이한 판단을 허용해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재판부는 또 "아무리 자유민주주의 사회라 하더라도 체제를 전복하려는 자유까지 허용해 자유와 인권을 모두 잃어버리는 어리석음을 범해서는 안 된다"면서 "체제를 위협하는 활동은 헌법에 의한 제한의 대상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헌법 제37조 제2항은 '국민의 모든 자유와 권리는 국가 안전보장이나 질서유지, 공공복리를 위해 필요한 경우에 한해 법률로써 제한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재판부는 이어 "오늘날 북한에 동조하는 세력이 늘어가고 통일전선의 형성이 우려되는 상황임을 직시할 때 체제 수호를 위해 허용과 관용에는 한계가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박재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