옷로비 검찰수사팀 '바늘방석'…특검수사 지켜보며 초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0면

지난 5월 옷 로비 의혹 사건 수사를 맡았던 서울지검 특수2부 관계자들이 요즈음 좌불안석의 신세가 됐다.

김대중 대통령이 이번 사건 최종보고서 유출에 책임있는 사람에 대해서는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책임을 묻겠다고 공언했고 이미 박주선 법무비서관은 경질됐다.

대검은 수사팀을 만들어 본격 수사에 들어갔다. 수사의 초점은 일단 문건의 유출경위를 밝히는데 집중되고 당시 검찰 수사는 현재로선 수사대상에서 벗어나 있다. 검찰 수사 결과를 놓고 현재 특별검사가 수사를 진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청와대의 강경한 분위기로 봐서는 불똥이 언제 검찰 수사쪽으로 튈지 모르는 형편이다. 축소.은폐의 전모를 밝히기 위해서는 검찰 수사 과정을 밝히는 것이 필수적이다.

당시 수사팀은 연정희씨의 모습이 언론에 노출되는 것을 막아주기 위해 대역(代役)까지 동원했다는 시비에 휘말리면서 수사 결과의 공정성에도 의심을 받았었다.

게다가 정일순(鄭日順)씨가 지난 16일 영장 실질심사때 "옷 배달 날짜가 12월 19일인데도 검찰이 12월 26일로 진술하도록 강요했다" 고 주장해 검찰을 어렵게 만들어 버렸다.

더욱이 사직동팀 최종보고서와 검찰 수사 결과가 대동소이해 검찰이 청와대 주문에 따라 움직였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당시 서울지검 3차장으로 이 사건을 지휘한 김규섭(金圭燮)대검 공판송무부장을 비롯해 김인호(金仁鎬.천안지청장)특수2부장, 이재원(李載沅.대전지검 특수부장)부부장은 한결같이 말을 아끼고 있다.

옷 로비 사건 수사를 화제로 올리는 것 자체를 꺼린다. 이들은 "특별검사의 수사 결과를 지켜보자" "왜 당시 검찰이 그런 결론을 내렸는지 특별검사 조사가 말해 줄 것" "3~4일 만에 그만큼 밝혀낸 것만 해도 대단한 성과" 라고 말한다. 주어진 여건에서 최선을 다해 법에 따라 수사했다는 것을 강조한다.

김상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