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학교지을 예산이 없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5면

부산시교육청은 몹시 숨이 차다.

학생 수는 매년 줄고 있는데도 한해 평균 12개의 학교를 계속 지어야 하기 때문이다.

앞으로 5년 동안 학교를 짓는데 무려 1조원을 쏟아부어야 한다.

이 돈은 올해 교육청 전체 예산(1조2천억원)과 거의 맞먹는 규모이다. 숨이 찰 수밖에 없다.

◇ 어디에 짓나〓부산시교육청은 내년부터 2004년까지 58곳을 신설할 계획이다. 초등 36곳.중학 14곳.고교 8곳이다.

연도별 개교되는 학교는 ▶내년 4곳 ▶2001년 9곳 ▶2002년 12곳 ▶2003년 17곳 ▶2004년 16곳 등이다.

당감. 만덕3. 거제. 화명2 택지개발지구, 용호동 도시설계지구, 명지주거지역 등 새로 조성되는 아파트촌 위주로 들어선다. 공단조성으로 학교를 짓는 곳은 신호지방 산업단지와 부산과학 지방산업단지 2곳 뿐이다.

부산시교육청은 58곳 신축 예산으로 9천5백36억원을 잡고 있다. 1곳 신축에 1백50억~2백억원이 들어가기 때문이다.

◇ 이유는 뭔가〓외곽에 아파트가 많이 들어서기 때문이다.

부산도시개발공사. 주택공사. 민간 건설업체 할 것 없이 외곽 지역에 대단지 택지를 만들어 도심의 인구를 밖으로 불러 내고 있다.

이 때문에 부산시교육청은 새로 개발되는 택지마다 학교를 지어야 하는 부담을 안고 있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학생 수 만으로 따지면 오히려 학교를 줄여야 한다" 면서 "1조원을 학교시설과 교육내용을 바꾸는데 쓴다면 부산 교육이 엄청나게 발전할 것" 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도심을 재개발하면 학교 증설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을 것" 이라고 부산시 등에 제안했다.

부산시내 학생 수는 아래 학년으로 내려갈수록 큰 폭으로 감소하고 있다. 고교 3학년은 7만1천3백54명인 반면 중학교 3학년은 5만5천98명, 초등학교 6학년은 4만8천5백49명이다.

고교 3학년이 초등학교 6학년보다 무려 2만2천8백5명 많다.

정용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