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 플러스] 금감원이 왜 '김정태 퇴출' 브리핑?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7면

김정태 국민은행장의 퇴출 절차가 논란을 빚고 있다.

증권선물위원회는 25일 국민은행이 지난해 9월 국민카드를 흡수합병하는 과정에서 회계처리를 잘못했다며 국민은행에 제재조치를 내렸다.

이번 제재로 김 행장은 9월 10일 금융감독위원회에서 징계를 받을 예정이다. 현행 규정으로 김 행장은 중과실에 따른 '문책적 경고' 이상의 징계를 받으면 행장을 연임할 수 없다. 문책적 경고가 확정되면 김 행장은 10월 말로 물러나야 한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보인 금융감독원의 행태가 묘하다. 금감원의 한 고위 관계자는 26일 "언론이 사안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다"며 브리핑을 자청해 "제재조치에 따라 김 행장의 연임이 불가능해졌다"고 친절하게 설명했다.

금감원은 그동안 "국민은행에 대한 회계 감리가 시장 규율을 세우기 위해 엄격한 절차와 룰에 따라 이뤄졌다"고 주장해 왔다.

그러나 금감원 고위 관계자가 '제재조치가 김 행장의 퇴진을 뜻한다'고 굳이 확인하고 나선 데는 석연치 않은 구석이 있다. 금융계에선 김 행장이 정부와 금융 당국에 미운털이 박혀 행장 자리에서 물러나게 됐다는 소문이 자자한 가운데 국민은행은 제재수위가 적절치 않다고 반발하고 있다. 이 판에 금감원이 김 행장의 퇴진을 언급하는 것은 아무래도 모양이 좋지 않다.

회계기준 위반이 중과실인지 아닌지는 국민은행과 금감원이 앞으로 행정심판 등을 통해 가릴 일이다. 그러나 이번 일로 감독 정책의 신뢰성에는 이미 큰 흠집이 났다.

김동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