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통'앓는 BK21 후유증…사립대 등록금 들먹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7면

'두뇌한국 (BK) 21' 사업 과학기술분야 지원대학이 지난달 31일 확정된 이후 사립대 교수들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또 연세대 등 주요 사립대들이 자구책 차원에서 '자율권 확대' 를 요구하고 나서 BK21 지원대학 선정 후유증이 사립대의 등록금 인상률 자율 결정, 기여입학제 허용 논란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이는 올해부터 연간 1천9백억원씩 7년간 총 1조3천3백억원이 지원되는 BK21사업 과학기술분야 지원대학에 서울대 등 국립대가 상당수 포함되자 사립대들이 엄청난 위기의식을 느끼고 있기 때문이다.

BK21사업 대학원 중심대학 분야 26개 사업단중 2개에서만 주관 대학으로 선정된 연세대는 1일 오후 주요 보직교수 회의를 열고 대학 자율권 확대, 침체된 분위기 쇄신대책 등을 논의했다.

연세대 관계자는 "정부가 국립대를 집중 지원하고 있기 때문에 사립대로선 재정 확보방안이 가장 절실한 과제" 라고 말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등록금 자율화, 기여입학제에 대한 논의가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송희준 (宋熙俊) 이화여대 기획처장은 "교육부가 내년부터 대학원에서 학점제 등록을 시행토록 하는 등 사립대 재정여건이 갈수록 나빠지게 돼 이번 BK21을 계기로 사립대 사이에 등록금 자율인상, 기여입학제에 대한 논의가 본격적으로 이뤄질 가능성이 커졌다" 며 "일부 사립대 총장들끼리 의견 교환이 있었던 것 같다" 고 말했다.

현재 등록금 인상은 형식상 대학 자율에 맡겨져 있지만 실제로는 정부 물가정책에 묶여있으며 기여입학제는 허용되지않고 있다.

한편 전국사립대학교수협의회연합회는 1일 성명을 내고 "BK21이 지나치게 국립대 지원에 치우쳐 우리 대학교육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사립대에 치명적인 해악을 미치게 됐다" 며 김덕중 (金德中) 교육부장관 퇴진, BK21 폐기 등을 요구했다.

민주화를 위한 전국교수협의회도 이날 "BK21은 사립대의 입지를 더욱 좁게 해 우리 대학의 불균등 발전을 심화시킬 것" 이란 성명서를 발표했다.

오대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