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유국, 고유가 덕에 돈방석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8면

산유국들이 고유가 덕에 돈방석에 앉았다.

석유수출국기구(OPEC) 대표 주자인 사우디아라비아는 올해 350억달러의 재정흑자를 기대하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 국영 상업은행(NCB)은 유가가 배럴당 30달러선을 유지할 경우 149억달러의 재정흑자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으나 40달러대의 고공비행이 한 달 이상 지속되자 흑자 규모를 두배로 늘려 잡았다. 쿠웨이트도 70억~110억달러의 재정흑자를 기대하고 있다.

베네수엘라 중앙은행은 올 2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13.6%를 기록했다고 최근 발표했다.

베네수엘라 정부는 원유 판매대금으로 지출을 81% 이상 늘리며 성장을 이끌었다. 베네수엘라는 2002년과 2003년 각각 마이너스 9%의 성장을 기록했다.

OPEC 밖의 최대 산유국으로 원유.가스가 전체 수출액의 57%를 차지하는 러시아도 나라 살림이 든든해졌다. 상반기 재정흑자는 3541억루블(약 121억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두배에 달한다.

이에 따라 러시아 경제부는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6.9%에서 7.1%로 올렸다. 1998년 모라토리엄 선언으로 세계 금융시장을 들쑤셨던 나라가 기름 덕에 오명을 씻어내고 있는 것이다.

러시아는 한편으로 표정관리에 신경을 쓰는 눈치다. 러시아 재무부는 내년 예산안에서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애초의 7.1%에서 6.3%로 낮춘 것이 한 예다.

현재 배럴당 41달러인 우랄산 원유 가격이 내년에 28달러선으로 떨어질 것이란 '보수적' 전망에 기초한 것이다.

미국 에너지부 산하 전략기구인 에너지정보처(EIA)는 지난 6월 기준으로 올해 OPEC가 원유 수출로 벌어들일 돈이 지난해보다 19%, 2002년보다는 47% 늘어난 2860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최근까지 유가가 계속 올랐다는 점을 감안하면 실제 OPEC에 흘러갈 달러는 더 늘 것으로 보인다.

산유국이 밀집한 중동지역은 이라크 사태, 팔레스타인 분쟁 속에서도 올해 5% 이상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동 산유국들은 호황을 이어가기 위해 잇따라 산유시설을 증설하고 있다. 이들의 산유시설은 현재 가동률을 한계선까지 높여야 국제 원유수요를 가까스로 충족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전 세계 기업들도 중동 시장을 타깃으로 삼아 발 빠르게 대응하고 있다.

하지만 길게 보면 자원 부국이 꼭 부자 나라가 된다는 보장은 없다. 미 컬럼비아 대학의 제프리 삭스 교수(경제학) 등 많은 전문가는 "천연자원이 풍부한데도 경제성장이 더딘 개도국이 많다"면서 "오일달러를 제대로 투자해 자본과 인적자원을 축적하지 않으면 장기적으로 경제 발전을 이룰 수 없다"고 지적했다.

허귀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