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회의 '노동계 끌어안기' 본격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국민회의의 '노동계 끌어안기' 가 본격화됐다.

청와대와 노동부의 적극적 자세전환과 함께 당도 적극 노동계의 변화를 이끌어내려 하고 있다.

당 관계자는 "당이 이같은 노력의 중심이 될 것" 이라고까지 예고하고 있다.

국민회의는 그동안에도 물밑 노력을 계속해 왔다.

성과도 있었다.

지난 25일 한국노총은 파업을 철회했고, 민주노총은 13일간의 단식농성을 풀었다.

'노사간 단체협약이 정부 지침에 우선한다' 는 기본원칙을 분명히 재확인해 줌으로써 한국노총을 누그러뜨렸다.

민주노총 쪽에는 ▶노조 대표자의 대통령 면담 주선 ▶구속.수배 노동자에 대한 선처 용의 등의 카드를 꺼냈다.

이런 적극적 협상의 중심엔 한광옥 (韓光玉) 부총재, 조한천 (趙漢天).조성준 (趙誠俊). 방용석 (方鏞錫) 의원 등이 있었다. 3.30 재선 당선 뒤 두드러진 활동이 없었던 韓부총재는 지난 19일 김대중 대통령으로부터 "韓부총재가 책임지고 노동계 현안을 풀어라" 는 특별 임무를 받았다.

법적 한계 안에서 마음껏 재량권을 행사해 보라는 힘까지 부여받았다고 한다.

그는 곧바로 당 노동대책위원장에 임명된 뒤 이상룡 (李相龍) 노동부장관 - 청와대 이기호 (李起浩) 경제.김유배 (金有培) 복지노동수석 라인과 긴밀히 협의했다.

이 협의에서 한국노총과 민주노총에 줄 '선물' 이 마련됐다는 것. 준비된 선물에 대한 경제.공안부처의 반발이 있었으나 韓부총재가 노사정 1기위원장 시절부터 갈고 닦았던 인맥과 정치력으로 밀어붙여 관철시켰다고 청와대 관계자가 전했다.

여권은 이로써 '진형구 (秦炯九) 파업 유도 발언' 으로 빚어진 정권과 노동계의 정면대결 양상이 한풀 꺾였다며 한숨을 놓았다.

국민회의는 또 金대통령이 방미 (다음달 2일) 전 노동계 대표들과 면담하는 것을 계기로 과거 야당 시절 자신들의 '우군 (友軍)' 이었던 노동계층을 다시 '개혁 지지세력' 으로 끌어들이는 작업에 박차를 가한다는 방침이다.

전영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