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교전] 김대통령 '냉정하게 대처하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청와대는 의외로 냉정하고 차분하다.

모든 상황은 즉각 김대중 (金大中) 대통령에게 보고됐다.

金대통령은 그때마다 냉정한 대응을 지시했다.

이날 金대통령에게 교전상황이 보고된 것은 오전 9시50분. 교전상황 발생 이후 20여분 뒤 金대통령은 "교전수칙에 따라 냉철하게 대처하라" 고 지시하곤 10시부터 한국 - 싱가포르 정상회담에 임했다.

정상회담 도중에도 황원탁 (黃源卓) 외교안보수석을 통해 수시로 상황보고를 받았다.

상황이 이내 끝났다는 보고를 받은 金대통령은 장성급 회담의 진전 여부를 챙겼다.

金대통령은 고촉통 (吳作棟) 싱가포르 총리에게 "한반도가 지금 이 정도로 복잡하다" 며 우리 대북정책을 설명했다.

金대통령은 "북한의 무력도발은 절대 용납하지 않는다" 며 "우리도 북한을 흡수통일하거나 그럴 의도가 없다" 고 강조했다.

金대통령은 또 정상회담 도중 黃수석을 통해 국가안전보장회의 (NSC) 상임위를 소집하도록 지시했다.

NSC는 단호한 대응방침 확인과 함께 교전사태가 확대될 경우 유엔 안보리 상정을 포함한 단계별 대응 시나리오를 협의했다.

오전 11시55분 정상회담을 끝낸 金대통령은 조성태 (趙成台) 국방부장관.합참 등에도 직접 전화를 걸어 상황을 점검했다.

그러나 청와대는 상황점검만 할 뿐 입장표명 등 대응은 모두 국방부에 맡겼다.

다만 박준영 (朴晙瑩) 대변인은 "도발에 대해서는 단호하고 원칙적으로 대응한다" 며 "그러나 대북정책은 일관되고 지속적으로 추진돼야 한다" 고 밝혔다.

金대통령은 이날 학술단체 대표들과의 오찬에서도 이날 교전상황과 북한의 피해상황 등을 간략히 소개했다.

金대통령은 그러면서 튼튼한 안보를 바탕으로 한 햇볕정책의 계속적인 추진 필요성을 강조했다.

金대통령은 "과거처럼 냉전 일변도 정책으로 가서는 안된다" 며 "북한이 평화적으로 개혁.개방으로 나오도록 해야 한다" 고 역설했다.

金대통령은 오찬을 마친 뒤 16일 오전 9시30분 정당 대표를 청와대로 초청, 서해안 사태를 논의하는 여야 총재회담을 개최토록 지시했다.

金대통령은 김정길 (金正吉) 정무수석이 이회창 (李會昌) 한나라당 총재를 방문, 초청 의사를 전달토록 했고 李총재도 위기상황을 감안해 응하기로 했다.

이연홍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