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4 개각] DJP 인선 특징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개각 발표를 몇시간 앞둔 23일 밤 여권의 한 고위 관계자는 "지금도 아직 확정짓지 못한 인사가 꽤 된다.

막판까지 진통을 거듭하고 있다" 고 했다.

이 관계자는 그 이유를 "솔직히 인재 풀이 여의치 않기 때문" 이라며 "특히 교수나 외부 전문가들의 경우 고사한 예가 적지 않은 것으로 안다" 고 토로했다.

24일 막상 뚜껑이 열린 김대중 정부 2기 내각의 면면을 보면 여권 내부의 이런 고민이 적잖게 배어 나온다.

당초 청와대는 교체대상 장관 후임으로 3~4배수의 후보들을 올려놓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신설 부처를 포함, 이날 발표된 장관급 인사 13명 중 '밖에서 충원된' 인물이라곤 손숙 환경부.김덕중 교육부장관과 김광웅 중앙인사위원장 정도다.

그나마 金장관은 새교육공동체위원장, 金위원장은 정부조직개편위원 등을 맡아 새 정부의 이너서클에서 활동해왔다는 점에서 순수한 외부 발탁 케이스는 孫장관이 거의 유일하다.

하지만 환경정책을 총괄하게 될 연극인 출신 孫장관의 경우 환경과 연관지을 수 있는 이력이란 환경운동연합공동대표 직책뿐이다.

경제팀의 경우만 해도 그렇다.

경제수석이 장관으로, 장관이 또다른 장관으로, 차관이 장관으로 수평 이동했을 뿐 새 얼굴은 눈에 띄지 않는다.

이 대목은 金대통령의 인사 스타일이 이미 검증된 사람을 선호하는데다 정권 출범 초부터 "사람을 자주 바꾸지 않겠다" 며 정책의 일관성을 강조해온 점과 연결시켜 볼 수도 있다.

반면 일부에선 "현 여권의 인재 풀에 일정한 한계가 있기 때문이 아니냐" 는 지적이 나오는 것도 사실이다.

무엇보다 극단적인 경우는 김태정 검찰총장의 법무장관 임명이다.

그동안 원로 법조인.교수 등이 하마평에 올랐지만 金대통령은 검찰총장 임기만료 두달을 남겨둔 김태정 카드를 택했다.

법조계 일각에선 "검찰 내에서 현 정부가 믿을 수 있는 인맥의 수준을 엿볼 수 있는 대목" 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여성각료 30%' 라는 대선공약이 무색하게 여성장관이 2명에서 1명으로 줄어든 것도 인재 풀의 한계 때문이라는 게 중론. 정부 한 고위 관계자는 "두번의 개각을 통해 DJ 인선 (人選) 의 특징은 두가지로 압축된다" 고 했다.

하나는 개혁정책에 대한 충성도이고, 또다른 하나는 국정운영의 연속성. 그러다 보니 비정치 내각을 표방했지만 DJ그룹이라는 범위를 뛰어넘는 과감한 발탁은 한계를 드러냈다는 얘기다.

박승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