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각 시사에 담긴 뜻] DJ '문제장관'만 손댈듯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개각이 임박한 것 같다.

김대중 (金大中) 대통령이 직접 개각단행을 시사했다.

金대통령은 16일 국무회의에서 국정혼선을 비판하며 "나는 당에 책임을 물었다.

국무위원들도 예외가 되지 않을 것" 이라고 개각을 예고했다.

이에 따라 개각 폭.시기가 관심이 되고 있다.

개각 폭과 관련, 그리 크지는 않을 것이란 게 대체적 관측이다.

당장 떠올릴 수 있는 대상은 국민연금문제의 보건복지부장관과 한.일 어업협정 물의와 관련한 해양수산부장관을 꼽을 수 있다.

그러나 국민연금 확대실시는 일단 강행키로 결론을 내린 상태다.

16일 있은 총리 주례보고에서도 그같은 입장이 재확인됐다.

일관된 정책을 추진하자면 사람을 바꾸기가 쉽지는 않다.

특히 김종필 (金鍾泌) 총리가 그런 이유로 김모임 (金慕妊) 보건복지부장관 유임 의사를 金대통령에게 전달했다는 후문이다.

자민련 몫인데다 金총리의 생각이 분명하므로 일단 유임이 유력시된다.

그러나 김선길 (金善吉) 해양수산부장관은 자리를 지키기 어려울 듯하다.

그의 경질에 대해서는 金총리도 양해했다는 얘기가 나돈다.

다만 현재 일본에서 협상을 하고 있는 만큼 협상이 끝나면 경질될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선 우리측의 단호한 입장표명 차원에서 협상마무리 전에라도 경질하자는 주장을 펴기도 하지만 金총리가 난색을 표하고 있다는 후문이다.

어쨌든 金장관은 이미 공개적으로 사의를 표명한 바 있고, 한.일 양국은 오부치 게이조 (小淵惠三) 총리 방한 (19일) 전에 협상을 완료한다는 계획이어서 큰 문제는 아닐 듯 싶다.

문제는 다른 장관들. 그러나 金대통령은 이날 국무회의에서 다른 장관들에 대한 교체가능성을 일단 일축했다.

金대통령은 "일부 언론에서 국정의 총체적 난맥상을 지적한 것은 대단히 부당한 비판" 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경제도 외교도 안보도 잘 돼가고 있다고 평가했다.

말 그대로라면 경제팀이나 외교안보팀에 대한 손질은 없을 것 같다.

특별한 문제가 없는 한 사람을 안바꾸는 金대통령이다.

분위기 쇄신차원의 개각을 지양하는 스타일인 것이다.

그렇게 보면 이번 개각은 일단 해양수산부장관 교체 수준에 머무를지도 모른다.

거기에 공석중인 여성특위위원장 후임인사가 얹혀지는 정도일 수 있다.

따라서 이런 체제로 8월까지 갈 가능성이 크다.

정치개혁입법을 하자면 7, 8월은 돼야 국민회의 전당대회를 치를 수 있기 때문이다.

金대통령은 그때 총선체제 구축차원의 대대적인 당정개편을 할 계획인 듯하다.

시기에 대해 이번 주는 어려울 것으로 보는 시각이 우세하다.

여야 총재회담과 오부치 일본 총리의 방한 때문이다.

그래서 다음주 초를 예상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러나 한.일 어업협상이 조기에 타결되면 이번 주중 단행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연홍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