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호타이어 사태 파국만은 막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3면

금호타이어 노사가 각각 전면 파업과 직장 폐쇄로 첨예하게 대립해 제2의 쌍용자동차 사태가 우려되는 가운데 지역 국회의원과 자치단체장 등이 중재에 나서기로 했다.

7명으로 구성된 중재단은 26일 금호타이어 회사 측과 노조에 “어떻게든 파국은 막아야 한다”며 중재의 필요성을 설명했다.

중재단원은 금호타이어 본사 및 광주공장이 있는 광산구의 국회의원인 김동철·이용섭 민주당 의원과 조승수 진보신당 의원, 전갑길 광산구청장, 민형배 전 청와대 비서관, 윤난실 전 광주시의회 의원, 이병훈 노무사다.

7인 중재단은 “노조는 쟁위행위를 중단해 생산을 정상화하고, 회사는 추진 중인 정리해고를 멈추고 향후 중재단의 활동에 적극 협조해 줄 것”을 요청했다.

중재단 관계자는 “노사 대립이 극으로 치달으면서 양측 모두 ‘돌아올 수 없는 강’을 건너는 형국이어서 중재에 나서기로 한 것”이라며 “양측이 중재단의 의견을 존중해 상생하는 윈-윈 방안을 찾기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금호타이어 노사는 26일 열린 제21차 교섭에서도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노사 대표 14명은 노조가 전날 제시한 수정안(임금 7.48% 인상 철회, 2008년 추가 성과급 요구 철회, 불합리한 정원은 노사 합의로 조정 등) 등을 놓고 협상 테이블에 마주 앉았으나 회사 측이 원래 입장을 고수, 2시간여 만에 협상을 끝냈다.

회사 측은 임금 동결과 정기승호 보류, 성과급 지급 불가, 정원 재설정 및 여력 인원 전환 배치 등 6개항이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광주와 곡성 공장의 규모를 70%로 줄이고 전체 인력의 13.3%에 해당되는 706명을 정리할 수 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노조는 27일부터 다음달 2일까지 집행부 선거 기간에는 선거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쟁의행위를 하지 않고 조업에 복귀하기로 했다. 사측도 노조가 조업에 복귀하면 직장폐쇄를 철회할 계획이어서 다음달 2일까지는 공장이 정상적으로 가동될 전망이다. 노사간 교섭도 노조 집행부가 선출되는 다음달 2일 이후 재개된다. 

이해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