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호남 총리’ 물색 … 50대 전문가 발탁 가능성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두 달 이상을 끌어온 이명박 대통령의 여권 진용 개편이 이르면 다음 주 초 공개된다. 국무총리와 대통령실장 등 이른바 ‘빅2’의 명암은 갈릴 가능성이 크다. 한승수 총리는 교체가 확정된 반면 정정길 대통령실장에 대해선 유임론이 우세하다.

◆심혈 기울였던 심대평 카드 어떻게 되나=후임 총리 후보와 관련,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이 대통령은 철저하게 정치적인 인사(人事)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치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인물을 발탁하는 데 이 대통령이 역점을 두고 있다는 뜻이다. 비 영남권 출신 인사들이 주로 총리 후보에 거론되는 이유다. 이와 관련, 이 대통령이 오래전부터 의사를 타진해 온 심대평 자유선진당 대표의 총리 발탁 가능성이 관심을 끌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 대통령이 여러 가지 루트를 통해 심 대표와 자유선진당 측의 의사를 타진해 왔다”며 “이 대통령이 가장 심혈을 기울여 온 카드임엔 틀림이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선진당 측과의 전면적 공조를 전제로 한 이런 포석은 선진당 내부의 반발로 최근까지 난항을 겪어 왔다고 한다. 심 대표 외에 충청권에선 이원종 전 충북지사, 정운찬 전 서울대 총장 등도 검증 대상에 포함됐다는 전언이다.

◆ 언론계 유력 인사도 거론=호남 출신으로는 강현욱 전 의원이 거론되고 있으며, 과거 민주당에도 몸담았던 김종인 전 의원의 이름도 자주 등장한다. 가능성은 작지만 김대중·노무현 정부에서 요직을 지낸 호남 출신 인사들의 이름들도 다수 거론된다. 이 대통령이 ‘충청·호남 출신’카드와 함께 관심을 가져온 ‘50대 전문가 총리’ 컨셉트와 관련해선 언론사 대표를 비롯한 몇몇 유력인사가 정밀 검증 대상에 올라 있다고 청와대 관계자는 전했다.

◆내각 개편은=윤증현 기획재정부·유명환 외교통상부 장관과 현인택 통일부·이달곤 행정안전부·장태평 농림수산식품부·전재희 보건복지가족부 장관의 경우 유임설이 유력하다. 반면 나머지 부처들의 경우 교체 여부가 유동적이라는 게 청와대의 대체적인 기류다. 청와대에서 ‘중폭’이란 관측이 나오는 만큼 6개 부처 안팎의 장관들이 바뀔 것이란 전망이 유력하다. 장관 교체 폭은 한나라당 소속 의원들 중 몇 명이 입각하느냐, 청와대 수석이 얼마나 교체되느냐에 영향을 받을 전망이다.

한나라당 내 친이명박계 의원들 중엔 임태희·주호영·나경원 의원이, 친박근혜계 의원들 중엔 최경환 의원의 입각 가능성이 거론된다. 이 대통령의 당선인 시절 비서실장을 지낸 임 의원은 지식경제부와 신설 가능성이 큰 정무장관 후보로 거론된다. 임 의원 외에 주호영 의원도 정무장관 또는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에 하마평이 돈다. 친박의원임에도 대통령직 인수위에 참여했던 최 의원의 경우 경제 관련 부처 장관으로 갈 것이란 관측이 무성하다.

◆맹형규 거취 따라 일부 수석 자리 옮길 수도= 9명의 청와대 수석급들 중엔 3~6명의 교체·이동 가능성이 있다. 교체가 확실한 정동기 민정수석 후임엔 대구 출신의 권재진 전 서울고검장과 서울 출신의 김회선 전 국정원 2차장, 호남 출신인 이귀남 전 법무부 차관이 경합 중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권 전 고검장의 경우 민정수석뿐 아니라 법무부 장관 후보로도 거론되고 있다”며 “권 전 고검장이 법무장관에 기용되면 김 전 차장의 민정수석 기용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교체가 유력한 강윤구 사회정책수석의 후임으론 복지관료 출신인 이상석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장과 여성인 양옥경 이화여대 교수, 호남 출신인 박승주 전 여성부 차관, 김태기 단국대 교수 등이 검증 대상에 올랐다는 전언이다. 정진곤 교육과학문화수석 후임엔 진동섭 교육개발원장을 비롯한 몇몇 인사가 거론된다.

유임설과 입각설이 함께 도는 맹형규 정무수석의 거취에 따라 일부 수석이 자리를 옮길 가능성이 있다. 맹 수석이 청와대를 떠나면 박형준 홍보기획관이 정무수석으로 이동하리란 관측이 나온다. 이럴 경우 이동관 대변인이 홍보기획관(또는 홍보기획관을 개편한 홍보수석)으로 옮겨 홍보업무를 총괄하고, 김두우 정무기획비서관이 대변인을 맡을 가능성이 거론된다. 김성환 외교안보수석과 윤진식 경제수석·박재완 국정기획수석은 유임이 유력하다. 이 대통령은 인사수석 신설 방침을 굳혔지만 적임자를 찾지 못할 경우 발표를 다음으로 미룰 수도 있다.

서승욱·남궁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