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아일랜드 테러파장]신·구교 피의 보복 '방아쇠'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지난 4월 역사적인 평화협정 체결로 30여년 만에 찾아온 '북아일랜드의 봄' 이 15일의 폭탄테러로 최대 위기를 맞고 있다.

신교계 주민들은 테러 배후로 구교계 무장단체를 지목하고 있어 보복성 테러까지 점쳐지고 있다.

만약 보복사태로 번진다면 평화협정 체결 이후 4개월여 지속돼온 평화무드는 순식간에 피의 악순환으로 이어지게 돼있다.

이에 앞서 지난 4월 영국 잔류를 원하는 신교계와 아일랜드 편입을 원하는 구교계 주민들은 ^북아일랜드 자치의회 구성^남.북아일랜드 각료협의회 구성 등에 합의하는 평화협상을 끌어냈다.

이로써 북아일랜드는 8백년전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두 주민간 갈등이 종식된다는 기대감에 차있었다.

5월 찬반을 묻는 주민투표에서 72%의 압도적 지지로 협정안을 통과시켰으며 6월 실시된 총선에서도 협정안을 지지하는 정당들이 대거 의회에 진출했다.

지난달에는 신.구교 대표들이 함께 참여한 자치의회가 구성됐고 자치행정부가 출범, 북아일랜드에 항구적인 평화가 정착되는 듯했다.

그러나 지난달부터 평화무드는 조금씩 삐걱거리기 시작했다.

과격 신교도들이 구교도 거주지역을 통과하는 전통적 거리행진을 강행하면서 양측의 충돌로 4명이 사망했다.

또 지난 1일 벨파스트 남서부에서 35명의 부상자가 생기는 차량 폭탄테러가 발생하면서 긴장이 고조돼 왔다.

두 주민들은 69년부터 본격적으로 무력투쟁을 벌이기 시작, 지금까지 3천5백여명이 숨졌다.

이번 사건은 79년 18명이 사망한 폭탄테러 이후 최악의 참극으로 기록되게 됐다.

북아일랜드 분쟁은 12세기 영국이 북아일랜드에 침입함으로써 시작됐다.

고대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