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뇌염]예방접종 5월까지해야 안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6면

일본뇌염 예방접종을 서둘러야 한다. 엘니뇨현상에 따른 이상고온으로 뇌염모기가 일찍부터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6일 전국에 일본뇌염 주의보를 발령했는데 이는 예년보다 20여일이나 빠른 것. 뇌염백신은 예방접종후 1~2개월이 지나야 항체가 형성된다. 따라서 뇌염백신을 예년에는 4~6월에 맞으면 효과를 볼 수 있었지만 올해는 늦어도 5월까지 맞아야 안심할 수 있다.

일본뇌염은 빨간 작은집모기가 일본뇌염 바이러스에 감염된 돼지를 문 뒤 다시 사람을 물면 감염되는데 7~20일의 잠복기를 거쳐 고열.전신통증.구토.언어장애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일본뇌염에 걸린 환자 중 15%정도는 사망한다.

특히 저항력이 약한 만3세부터 15세까지의 어린이들은 반드시 뇌염예방접종을 받아야 한다. 그러나 매년 백신을 맞을 필요는 없다. 뇌염항체는 한 번 형성되면 2~3년동안 지속되므로 처음 2년동안을 제외하면 격년으로만 맞으면 되는 것. 만3세에 1~2주 간격으로 두 번 맞은후 4세에 한 번, 그 뒤로는 짝수 나이에만 1년에 한 번씩 예방접종을 하면 면역력을 유지할 수 있다.

뇌염백신은 부작용으로 사망할 확률이 1천만분의 1정도에 불과할 정도로 비교적 안전한 약이지만 고열에 시달릴 때는 접종을 피해야 한다.

고려대의대 소아과 신영규교수는 "폐렴이나 간염등 급성질환을 앓고 있을 때는 예방접종을 받지 말아야 한다" 며 "하지만 열이 나지 않는 가벼운 감기의 경우 접종을 미룰 필요는 없다" 고 조언했다.

한편 중국에서 개발된 일본뇌염 생백신은 살아있는 일본뇌염 바이러스의 독성을 약화시켜 접종하는 것으로 바이러스를 죽여 사용하는 기존의 사백신에 비해 항체형성률이 높고 평생 2~3회 접종만으로 충분하다는 점에서 최근 관심을 끌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아직 임상연구중으로 시판되지 않고 있다.

이지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